예루살렘의 마가의 다락방은 기독교 교회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 공간이며, 동시에 오늘날 교회 공동체에 깊은 영적 통찰을 주는 장소로 잘 알려져 있다. 이 다락방은 사도행전 1장부터 2장으로 이어지는 매우 중요한 장면의 무대가 되는데, 바로 여기서 초대교회의 태동과 성령 강림 사건이 일어났다고 전해진다. 또한 그 시작점인 사도행전 1장은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지상 사역을 마무리하시는 시점, 즉 승천 직전 제자들에게 마지막 당부와 약속을 주신 사건이 기록된 장면이다. 그리고 이 다락방은 단지 물리적 공간의 개념을 넘어, ‘초대교회가 두려움 속에서도 예루살렘 한복판에 모여 역사적 변화를 일으킨 상징적 장소’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장재형 목사는 이 장면을 가리켜 “비록 제자들이 공포와 두려움에 떨고 있었지만,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후 약 40일 동안 그들을 직접 찾아오셔서 다시 세우시고, 믿음을 불어넣어 주신 뒤 예루살렘으로 모이게 하셨다”라고 설명한다. 제자들은 갈릴리까지 흩어졌다가,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나고서야 비로소 “부활신앙”으로 무장되어 예루살렘에 돌아올 수 있었다. 이는 신앙공동체 안에서 부활이 어떠한 힘을 발휘하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이며, 그 출발점에 마가의 다락방이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왜 굳이 예루살렘이어야 했을까? 예수님께서 잡히시고, 거기서 처형되셨던 도시가 예루살렘이다. 제자들에게는 몹시도 두렵고 참혹한 기억이 남은 곳이었을 것이다. 주님이 십자가에 달려 죽으신 후, 그분을 따르던 많은 이들이 뿔뿔이 흩어지고 말았다. 그러나 주님은 “예루살렘을 떠나지 말라. 아버지께서 약속하신 성령을 기다려라”(행1:4-5)는 말씀을 직접 주심으로써, 제자들이 오히려 가장 위험하고 두려운 지역에 다시 모이게 하셨다. 장재형 목사는 이를 “하나님의 역사는 늘 우리의 기대와 상식을 뛰어넘는다. 부활신앙이란, 가장 절망적인 곳에서 가장 소망을 전하는 힘을 발휘할 때 드러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부활신앙의 특징은, ‘죽음이 끝이 아니다’라는 확신에 있다. 제자들이 한때는 ‘주님이 처형당했고, 이제 우리도 붙잡혀 죽을 것’이라는 두려움 속에 주저앉았으나, 예수님께서 실제로 사망 권세를 깨뜨리고 다시 살아나신 모습을 보고 “죽음 그 너머의 새로운 시대”를 경험한 것이다. 그래서 사도행전 1장 3절에서는 예수님이 부활하신 후 40일 동안 “하나님 나라의 일을 말씀하셨다”고 증언한다. 여기서 “하나님 나라의 일”이란 단지 막연한 종말론이나 철학이 아니라, 지금 현실에서 교회가 어떤 능력으로 세워져야 하고, 어떻게 전진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 방향을 포함한다. 그 핵심 중 하나가 “너희는 예루살렘에서부터 출발하라”는 말씀이다.
장재형 목사는 “사람이 가장 약해지고 넘어졌던 곳에서 다시 회복하는 역사를 ‘부활신앙의 실제’라고 정의할 수 있다”고 말하며, 이것이야말로 예루살렘 마가의 다락방이 주는 교훈이라 강조한다. 처음에 제자들이 이 다락방에 모였을 때, 그 분위기는 지극히 숨죽인 상태였을 것이다. 십자가 사건 직후, 예수님의 시신이 무덤에 안치되었고, 지도층은 예수님의 잔당까지 모조리 소탕하려는 기세가 등등했다. 그렇기에 그 다락방은, ‘잠깐 모여서 기도하는 안전한 은신처’ 정도로 활용되었을 수 있다. 그러나 주님은 “그곳에서 멈추지 말고 기다리라. 멈추어 서 있으라는 의미가 아니라, 성령을 받을 때까지 머물라는 것”이었다. 마가의 다락방이 이처럼 ‘무력한 도피처’에서 ‘능력의 발원지’로 바뀌게 된 것은 바로 성령 강림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곧 성령이 임하심으로(행2장), 그들은 더 이상 두려움 속에 숨은 제자들이 아니었다. 공포의 공간이던 다락방이 부활의 확신과 성령의 능력이 임하는 현장이 되자, 제자들은 그곳을 떠나 예루살렘 거리로 나아가 담대히 복음을 전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해 장재형 목사는 “부활이 교리로만 남아 있다면 의미가 없지만, 부활신앙이 실제 삶을 뒤엎는 능력이 될 때, 사람들이 마침내 예루살렘성 안에서조차도 두려움을 뛰어넘어 행동하는 변화를 보게 된다”라고 역설한다.
이런 ‘행동하는 신앙’은 곧 사도행전 전반에 드러난다. 예루살렘에서 시작하여 사마리아와 온 유대, 그리고 땅끝에 이르는 역사적 복음 전파의 여정이 펼쳐지는 것이다. 신앙이 행동으로 이어진 가장 첫 번째 장면은 사도행전 2장 오순절 사건에서 드러나듯, 골방에 숨어 있던 이들이 거리로 나아가 복음을 선포하고, 하루에 수천 명이 회개하고 세례받는 장관이 펼쳐진 것이다. 그 발화점이 바로 마가의 다락방이었다.
한편, 이 다락방은 “교회의 모태” 또는 “교회의 자궁”으로 비유되기도 한다. 그 이유는 새 시대가 마치 새로운 생명이 태어나는 것처럼, 부활하신 예수님에 대한 확신과 성령 강림으로 인해 실제로 ‘새로운 공동체’가 그 안에서 잉태되었기 때문이다. 예수님이 아직 지상에 계실 때는, 제자들은 말씀을 배우며 동행하는 수학(修學) 단계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예수님이 승천하시고 성령이 임하신 이후, 제자들은 ‘교회 공동체의 기둥’으로서 스스로 복음을 확장해나가는 주체가 되었다. 다락방은 그 전환점의 심장부였고, 그 동력이 곧 부활신앙이었다.
요한복음 21장에서 베드로의 회복 장면을 떠올려보면, 제자들이 어떻게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났고, 또 어떻게 다시금 사명을 확인하며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순종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베드로가 주님을 세 번 부인한 이후, 주님께서 그에게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라고 세 번 묻고, 베드로가 그 사랑을 고백함으로써 비로소 무너진 자기 자신을 끌어안고 ‘반석’(베드로)으로 거듭 태어난다. 장재형 목사는 이 장면에 대해 “교회가 특정 프로그램이나 조직력으로 움직이지 않고, 결국 그 근본 동력은 ‘주님을 향한 사랑’에서 출발한다. 그 사랑은 곧 주님의 부활하심에서 기인하고, 우리를 품어주신 그 은혜를 마음으로 믿고 입으로 시인할 때에야 견고해지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마가의 다락방 역시 이와 같은 ‘고백’과 ‘회개’와 ‘믿음’의 집합체였다. 부인했던 제자들, 뿔뿔이 흩어졌던 제자들이 다시 돌아와 하나의 공동체가 되고, 절망을 넘어서는 용기를 내어 모일 수 있었던 것은 주님의 부활과 성령의 약속 때문이었다. “마태복음 26장 이하에 기록된 예수님의 고난 현장과, 요한복음 21장 갈릴리로 돌아간 제자들의 모습, 그리고 사도행전 1장의 예루살렘으로의 귀환이 한 줄로 연결될 때, 비로소 부활신앙이 오늘날 교회에 실질적 메시지를 준다”고 장재형 목사는 거듭 강조한다.
이렇듯 예루살렘 마가의 다락방은 결과적으로 ‘두려움에서 대담함으로, 흩어짐에서 모임으로, 수치와 부인에서 회개와 고백으로’ 전환하는 현장이 되었다. 오늘날 교회가 이 점을 깊이 묵상할 필요가 있는데, “교회가 어느 시점부터 사회적 지탄이나 박해의 두려움 속에 숨어만 있는다면, 다시 마가의 다락방에 임한 성령의 불꽃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부활신앙의 현재적 적용이기도 하다. 죽음을 깨뜨리고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마치 여전히 우리와 함께하듯 교회를 세우시고, 그 교회가 세상 한복판에서 담대히 복음을 전하도록 지지해주신다는 사실을 붙들 때, 우리는 “예루살렘에서 시작하여 땅끝까지” 이르는 길을 기쁨으로 갈 수 있다.
이 모든 맥락에서 장재형 목사는 “마가의 다락방을 단지 역사적 장소로만 여기지 말고, 현재의 교회마다 자기만의 다락방을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것이 곧 ‘성령의 임재를 사모하고 기도하는 자리’일 수도 있고, ‘부활신앙을 함께 붙들고 고백하는 자리’일 수도 있다. 다락방에 모여 기도한다는 것은, 내부적으로 숨는 행위가 아니라 “거기서 능력을 받아 세상으로 나아가기 위한 최종 준비”라는 점이 핵심이다.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너희가 몇 날이 못되어 성령으로 세례를 받으리라”(행1:5)고 하셨듯, 그런 약속이 ‘다락방’에서 성취되었기에, 초대교회는 결코 사라지지 않고 전 세계로 뻗어나갔다.
2. 맛디아의 선택, 유다의 빈자리를 메우는 교회의 회복
사도행전 1장 후반부에서 제자들은 열두 번째 사도의 자리를 새롭게 채우는 사건을 맞이한다. 부활절을 지나 오순절로 향하는 그 사이, 가장 큰 이슈 중 하나가 “예수님이 열둘 중에 한 사람으로 부르셨던 가룟 유다의 배신과 그 후속 처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였다. 유다는 예수님을 은 삼십에 팔아넘긴 뒤, 스스로 목매어 죽었다. 그뿐 아니라, 그는 불의한 삯으로 밭을 산 뒤 거기서 몸이 떨어져 장기가 터져 죽었다는 기록(행1:18)으로 인해 “핏값의 비극”을 상징하는 인물이 되었다.
장재형 목사는 유다의 비극을 “가장 가까운 자리에 있던 사람이 오히려 가장 큰 범죄를 저지른 사건”이라고 표현한다. 유다는 제자 공동체 안에서 돈궤를 맡던 자였으니, 사실상 재정을 관리하고 봉사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교회도 마찬가지로, 재정을 맡고 봉사하는 자리가 때로는 은혜가 충만해야 할 중요한 자리가 되지만, 동시에 사탄의 유혹과 시험이 들어오기 쉬운 통로가 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공동체를 운영하기 위해 돈이 필요하고, 이 돈이 때로는 세속적인 이익이나 욕망을 건드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경은 교회가 “돈을 사랑함이 일만 악의 뿌리가 된다”(딤전6:10)고 거듭 경계하고, 초대교회가 “모든 재산을 서로 통용하며 각 사람의 필요를 따라 나눠주었다”(행2:45, 4:34)고 기록함으로써, 물질에 얽매여 부패하지 않도록 초점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유다는 물질적 욕심과 정치적 계산이라는 틈을 통해 사탄에 의해 쓰임받아, 결국 예수님을 팔아넘기는 배신자가 되었다. 그는 배신 직후 뒤늦은 후회를 했지만, 제대로 된 회개에 이르지 못하고 극단적 선택으로 생을 마감함으로써, ‘제자 중 하나를 잃었다’는 뼈아픈 상처를 교회에 남겼다. 열두 제자는 이스라엘 열두 지파를 상징하는 영적 기둥이었고, 주님이 친히 세우신 “새로운 언약 공동체의 문”과 같았다. 그 한쪽 문이 무너졌으니, 이 문을 다시 세우는 작업이 시급했을 것이다.
이에 사도행전 1장에서는 그 공석을 채우기 위한 회의가 열린다. 여기서 초대교회는 새롭게 사도의 자리를 메울 인물을 뽑는데, 그것이 바로 맛디아다. 그 과정을 눈여겨보면, 교회의 위기 대처 방식이 어떠했는지 배울 수 있다. 사도행전 1장 21~22절에서 베드로는 이렇게 제안한다. “이 일, 곧 우리와 함께 다니면서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증인이 될 사람을 찾아야 한다. ‘요한의 세례’로부터 주님이 승천하시는 그 날까지 우리와 늘 함께하던 사람 중 하나를 세우자.” 그 결과, 두 사람이 후보에 올랐고, 초대교회는 그 자리에서 제비를 뽑아 맛디아를 선택했다.
장재형 목사는 여기서 주목할 몇 가지 포인트를 제시한다. 첫째, 초대교회가 “부활의 증인”을 최우선 자격 요건으로 삼았다는 점이다. 교회가 존재하는 목적은 부활하신 주님을 증거하기 위함이므로, 사도의 핵심 사명 역시 부활의 소식을 전하는 일이었다. 맛디아를 비롯해 후보가 되었던 사람들은 이미 예수님의 공생애와 고난, 죽음, 부활까지 전 과정을 옆에서 지켜본 사람들로, 사실상 열두 사도와 함께 늘 다니며 배웠던 이들이었다. 둘째, 선택 과정에서 보이는 공동체적 합의와 기도, 그리고 제비뽑기가 인상적이다. “모든 사람의 의견과 교회의 합의가 중요했고, 마지막 단계에서 하나님의 주권적 결정에 운명을 맡기는 방식”을 택했다. 이는 교회가 단지 인간적 계산이나 정치적 타협으로 리더를 뽑지 않음을 시사한다. 셋째, 이렇게 뽑힌 맛디아가 이후 교회에서 어떠한 능력을 나타냈는지에 대한 기록 자체는 성경에 길게 남아 있지 않지만, 이 사건을 계기로 열두 제자가 온전히 회복되어 다시 오순절 성령 강림을 맞이할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이 선택의 과정이 중요할까? 교회가 성령이 임하기 직전 가장 먼저 한 일이 바로 “지도자 팀(사도단)을 회복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유다가 만들어낸 공백과 배신으로 인한 상처를 치유하지 않고서는 교회가 온전히 하나가 되기 어려웠을 것이다. 사람의 마음 속에는 여전히 “우리 중 하나가 주님을 배반했다”는 배신감이 남아 있었고, 그 가운데 제자들은 서로를 향한 신뢰 회복이 시급했다. 또한 각자 흩어졌던 제자들이 다시 예루살렘에 모여 함께 기도하면서, “이제는 다시는 그런 배신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라는 단단한 결속을 다져야 했다.
장재형 목사는 “교회 안에 생겨난 상처, 지도자의 배신이란 것이 얼마나 공동체를 무너뜨릴 수 있는지, 유다의 사건이 상징적으로 보여준다”라고 지적한다. 그렇기에 초대교회는 가룟 유다의 사건을 단순히 잊어버리거나 덮어두지 않고, 아예 교회 첫 발을 내딛는 시점에 투명하게 정리하고 넘어갔다. 유다가 남긴 핏값의 돈은 성전에 던져졌고, 그것으로 ‘피밭’을 샀다는 사실(마27:5-8)이 공공연히 드러났다. 교회는 이 부끄러운 역사를 숨기지 않고, 되레 예언(예레미야나 시편)에 입각하여 “이 일이 예언이 성취되는 과정의 일부”라고까지 받아들이며, 공동체 전체가 한 목소리로 기도하고 새 인물을 임명했다.
그리하여 맛디아가 사도의 자리를 이어받게 되었다. 교회는 다시 열두 사도의 틀을 회복하고, 그 안에서 더욱 공고해진 영적 유대감 속에 오순절 성령 강림을 맞이했다. 그리고 그 성령의 힘을 입은 사도들은 예루살렘을 기점으로 온 유대와 사마리아를 넘어 땅끝까지 복음을 확장해 나가게 된다. 만일 유다의 배신과 죽음으로 인해 생긴 내분과 상처를 방치했다면, 교회가 출범하기 전부터 붕괴될 위험이 컸을 것이다. 하지만 반대로, 그 상처를 드러내어 해결하고, 회복의 과정을 공적으로 선포함으로써, 교회가 더욱 성숙한 모습으로 거듭날 수 있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유다의 실수와 죽음은, 초대교회에 ‘결코 그 누구도 이 길에서 방심해서는 안 된다’라는 경각심을 심어주었다고 볼 수 있다. 예수님을 직접 3년간 따라다니고, 기적과 말씀을 접하며, 심지어 돈궤를 맡겨질 정도로 신뢰받던 인물조차 무너질 수 있다는 사실은, 교회 구성원 누구든지 시험에 드는 위험이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 장재형 목사는 이 대목에 대해 “현대 교회 리더십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한 사람이 아무리 뛰어나 보여도, 끊임없이 말씀과 성령으로 자신을 살피고 깨어 기도해야 한다. 그리하지 않으면, 사단은 언제든지 우리를 미끼로 삼을 수 있다”라고 경고한다. 교회사는 배신과 타락의 역사가 결코 적지 않았다. 그러나 동시에, 그때마다 하나님께서는 새로운 인물(맛디아 같은)을 세워 교회의 빈 자리를 메우고, 역사를 이어 가셨음을 우리는 본다.
그렇다면 오늘날 교회가 맛디아의 선택 사건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점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첫째, 교회가 공동체적 합의와 기도 가운데 가장 중요한 지도자 자리를 채워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히 능력·명성·정치력을 보고 지도자를 세워서는 안 되며, “부활신앙을 확실히 붙들고 있는가?” “주님과 함께해 온 시간이 있는가?” “주님의 고난·죽음·부활을 옆에서 목격하고, 자기 삶으로 간증할 수 있는가?”라는 핵심 신앙 고백이 훨씬 중요하다. 둘째, 지도자의 배신 또는 교회 안의 큰 상처가 생길 때마다, 그것을 단지 ‘개인의 비극’으로 덮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 전체가 아파하며 “어떻게 회복할 것인가”를 기도와 말씀 속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유다가 무너진 뒤, 초대교회가 그를 강렬히 비난하는 데 시간을 보내지 않고, 주님의 말씀과 예언을 찾아 연구하며, 거기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길’을 열어간 자세는 배울 점이 많다. 셋째, 이 모든 회복 과정은 궁극적으로 ‘성령 강림’에 집중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교회가 왜 굳이 이 사건을 성령 임재 이전에 다뤘겠는가? 바로 오순절 성령을 받을 수 있는 온전한 상태로 자신들을 준비해야 했기 때문이다. 불의와 혼란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성령의 큰 역사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장재형 목사는 “교회가 성령의 역사, 부흥, 성장 등을 말하기 전에, 먼저 내부의 죄와 불의를 다루는 과정을 진지하게 거쳐야 하며, 지도자들의 무너짐이 있다면 그것을 은폐하지 말고 진정으로 치유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유다에게서 벗어나 맛디아를 세운 것이 “하나의 상징”이라면, 곧 ‘교회는 그 어떤 큰 상처를 당해도, 하나님의 계획 속에서 반드시 회복의 길을 찾는다’는 메시지를 준다. 물론, 유다는 원천적으로 ‘버려진 자’가 아니라, 스스로 길을 선택해 그 길로 나아갔다가 영원한 비극을 맞이한 것이다. 교회가 누구를 불문하고 회복과 구원의 길로 초청하지만, 개인이 끝까지 거부하면 비극은 일어난다. 교회는 그런 비극을 무조건 덮는 대신, 회개와 갱신의 동력을 찾아 새로운 길을 내야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부활신앙”이 핵심 저력으로 작용한다.
부활신앙은 “죽음을 끝장내고 다시 살리시는 하나님의 능력”을 믿는 것이다. 유다는 예수님을 죽게 만든 장본인이었고, 그 뒤에 찾아온 죄책감에 무너져 갔지만, 예수님은 부활하심으로 “생명의 길”을 열어놓으셨다. 가룟 유다의 배신이 교회에 남긴 충격과 공포는, 예수님의 부활로 인한 소망에 의해 극복될 수 있었다. 맛디아가 그 빈자리를 메꾸었을 때, 열두 제자는 다시 하나가 되어 성령을 기다렸고, 곧 교회에 불처럼 임한 성령으로 인해 예루살렘에 담대히 복음을 전파하기 시작했다. 사도행전 1장에서 4장까지 읽어보면, 베드로와 요한이 성전 수비대를 비롯한 종교 권력 앞에서도 두려움을 느끼지 않고 “예수 이름 외에 구원 받을 다른 이름이 없다”(행4:12)고 선포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때의 베드로는 “닭 울기 전에 예수님을 세 번 부인하던 베드로”가 더 이상 아니다. 그는 마가의 다락방에서 회복된 자, 성령 받은 자, 그리고 맛디아와 함께한 “온전한 사도단”의 대표가 되어 버젓이 복음을 외친다. 여기에는 “무너져버린 지도자 한 사람의 자리마저도 하나님께서 회복시키셨다”는 강력한 메시지가 담겨 있다.
장재형 목사는 “유다를 잃고 맛디아를 얻은 교회가 ‘피투성이가 된 상처’를 치유받은 것처럼, 교회도 끊임없이 옛 상처와 고통을 치유받으며 새 술 부대를 채워야 한다”고 말한다. 초대교회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대 교회도 각종 분쟁·부패·배신 같은 사건을 겪을 때가 많으며, 그때마다 어떻게 ‘새로운 맛디아’를 세워서 공동체를 정돈하고 성령의 역사를 받을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회는 “성령을 통해 새로운 시대를 여는 공동체”이며, 동시에 “배신과 회개, 죽음과 부활, 좌절과 회복”이라는 수많은 교차점을 통과해가며 성장한다. 가룟 유다는 예수님의 죽음을 재촉했고, 맛디아는 그 빈자리를 메우며 복음의 문을 확장했다. 베드로는 부인하고 도망갔으나, 다시 예수님께서 찾아오셔서 요한복음 21장에서 그의 사랑을 회복시키셨고, 사도행전에서 가장 먼저 설교를 펼치는 지도자로 세우셨다. 이렇게 사도들의 재정비가 끝나고, 초대교회는 마가의 다락방이라는 공간에서 성령이 임하는 장관을 경험한다. 그 성령이 임한 순간부터 교회는 더 이상 숨어 있지 않고 거리로 나가 복음을 선포하기 시작했고, 이내 예루살렘이 발칵 뒤집혔다.
오늘날도 교회가 같은 경험을 할 수 있을까? 장재형 목사는 “당연히 가능하다. 다만, 그 조건은 오늘날 교회가 부활신앙의 실제적 파워를 믿고, 내부의 문제(배신·부패·불신)를 회개와 기도로 해결하며, 성령의 인도하심을 온전히 구하는 데 달렸다”고 주장한다. 마가의 다락방과 맛디아의 선택은, 교회가 어떻게 부활하신 주님의 능력을 실제 삶에서 체험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공동체 안의 갈등과 상처를 극복하여 새로운 시대로 나아가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부활신앙으로 대표되는 기독교의 핵심은 “이 땅의 죽음, 절망, 실패가 결코 마지막이 아니다”라는 믿음이다. 가룟 유다라는 절망적 사례가 있어도, 교회는 맛디아를 통해 복음 전파의 긴 역사를 이어 간다. 우리가 때로는 베드로처럼 주님을 부인하고 죄책감 속에 살지라도, 요한복음 21장처럼 주님이 친히 우리를 다시 찾아오시고 회복시킨다. 그 은혜가 우리를 예루살렘 마가의 다락방으로 이끌어, 무기력한 상태가 아니라 담대한 성령의 능력을 입어 세상 한복판으로 나가도록 만든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초대교회는 결국 사도행전 28장 마지막 절에서 “금하는 사람이 없었다”라는 당당한 선포로 마무리한다. 복음 전파를 막을 수 없었다는 뜻이다. 바울은 로마의 옥중에서도 복음을 전했고, 베드로는 역사의 기록에 따르면 거꾸로 십자가에 달리는 순교로 사명을 마무리했으나, 그의 뒤를 잇는 수많은 제자들이 또다시 교회의 빈 자리를 채워나갔다. 이처럼 교회는 주기적으로 흔들리고 넘어질지라도, 부활신앙과 성령의 능력 안에서 새롭게 일어선다. 열두 제자 중 한 사람이 무너져도, 하나님께서는 사도직을 회복하고, 땅끝까지 이어지게 하는 방법을 갖고 계신다.
맛디아의 선택은 바로 이 ‘회복’과 ‘전진’의 두 가지 정신을 모두 아우른다. 교회가 내부의 상처를 치유하고, 부활신앙에 기초하여 더 큰 비전을 향해 나아가는 출발점이 되는 것이다. 이 메시지는 오늘날도 여전히 유효하고, 교회 지도자들마다 사역 현장에서 다양한 갈등과 문제를 마주할 때마다, “초대교회는 어떻게 이 난관을 돌파했나?”를 돌아보면, 결국 그 답은 “부활신앙의 견고한 고백과 성령의 임재를 기다리는 기도, 그리고 투명한 공동체적 절차”에 있음을 깨닫게 된다.
장재형 목사는 이를 정리하며 말한다. “부활은 능력이다. 그 능력은 우리 마음 안에 역사할 때, 사람을 살리고, 교회를 살리고, 그리스도의 몸을 세운다. 아무리 큰 배신자가 있어도, 그 배신을 넘어 교회는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는 회복과 새 출발의 길을 찾게 된다. 유다의 실패가 교회 역사의 종말을 뜻하지 않았듯이, 오늘날 우리가 맞닥뜨리는 어떠한 큰 상처도 하나님 나라의 약속을 소멸시키지 못한다.”
바로 이 지점이 “예루살렘 마가의 다락방과 맛디아의 선택”이 하나로 연결되는 결정적 이유다. 마가의 다락방은 숨죽이고 숨어 있던 제자들이 성령 강림을 경험한 뒤 세상으로 나가 복음을 선포하기 시작한 발화점이라면, 맛디아의 선택은 사도 중 한 사람의 배신과 죽음을 넘어서 교회가 다시 ‘온전한 공동체’로 거듭나는 장면이다. 두 이야기는 “교회 안의 배신·부인·두려움이, 주님의 부활과 성령의 임재로 말미암아 어떻게 회복과 능력의 역사로 바뀌는가”를 종합적으로 보여준다. 여기에는 슬픔과 회환이 섞여 있지만, 더욱 강력한 하나님의 은혜가 깃들어 있다. 그 결과, 초대교회는 예루살렘을 넘어 땅끝까지 복음을 전파하는 길로 분연히 일어설 수 있었다.
오늘날 교회도 마찬가지다. 어떤 지역 교회나 공동체가 마치 마가의 다락방처럼 ‘현대적 의미의 다락방’을 회복해 부활신앙으로 충만해진다면, 그리고 가룟 유다가 남기고 간 상처를 맛디아의 선출처럼 투명하고 말씀에 충실한 방식으로 치유한다면, 성령의 새 역사를 기대할 수 있다. 오순절 사건이 2000년 전 어느 한 장소에서만 일어난 ‘역사적 일회성’이 아니라, 모든 시대와 지역의 교회가 체험할 수 있는 하나님의 운동인 것이다.
이러한 가르침은 장재형목사가 줄곧 강조해온 “부활신앙의 실천성”과 맞닿아 있다. 성경에서 예수님의 부활을 지적(知的)으로만 받아들이고 말면, 그것은 단순한 교리에 그친다. 그러나 초대교회는 이 부활을 실제 삶의 원동력으로 삼아, 배신이나 고난, 죽음이나 절망도 더 이상 끝이 아님을 시연해 보였다. 베드로와 사도들이 예루살렘 한복판에서 자신들을 죽이려 했던 세력들에게도 담대히 복음을 전하는 모습은, 부활이 얼마나 실재적이고 폭발적인 힘을 발휘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므로 “교회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예루살렘 마가의 다락방에서 시작되어, 가룟 유다의 배신을 맛디아의 선출로 회복하고, 성령 강림을 통해 전 세계로 나아간 공동체”라고 답할 수 있다. 그 정체성은 역사의 시공간을 넘어 오늘도 유효하며, 교회가 부활신앙을 지키는 이상 결코 문이 닫히지 않는다. 때로 교회 내부에 치명적인 균열이 일어나더라도, 하나님께서는 새로운 인물을 세워 그 자리를 회복시키시고, 또다시 성령을 부어주신다. 이것이 “예루살렘에서 시작하여 로마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전 세계에 이르기까지” 이어지는 복음의 연속성이자, 현대 교회가 이어받아야 할 믿음의 유산이다.
장재형 목사의 결론적인 권면도 여기에 맞닿는다. “우리는 현재적 다락방을 회복해야 하며, 배신과 실패가 일어날 때마다 그것을 덮는 대신 진실하게 회개하고 투명하게 해결함으로써, 하나님께서 주시는 새 출발의 기회를 붙잡아야 한다. 그 중심에는 ‘부활의 주님’이 계시고, 그분이 교회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선교적 사명이 놓여 있다.” 교회가 이 길에 순종할 때, 사도행전의 역사는 중단되지 않고 계속 펼쳐질 것이다.
1. La chambre haute de Marc à Jérusalem, le lieu de la foi en la résurrection
La chambre haute de Marc à Jérusalem occupe une place particulière dans l’histoire de l’Église chrétienne. C’est un lieu chargé d’une signification profonde pour la communauté d’aujourd’hui, connu pour l’éclairage spirituel qu’il offre. Selon le récit des Actes (chapitres 1 et 2), cette chambre haute est le cadre d’événements cruciaux : la naissance de l’Église primitive et la descente du Saint-Esprit. Dans Actes 1, au moment où Jésus ressuscité achève son ministère terrestre et avant de monter au ciel, Il donne ses dernières instructions et promesses aux disciples. Or, cette chambre haute dépasse la simple notion d’un espace physique : c’est « l’endroit symbolique où l’Église primitive, malgré la peur, s’est rassemblée en plein cœur de Jérusalem pour initier un changement historique ».
Le pasteur David Jang qualifie cette scène en disant : « Bien que les disciples aient été terrorisés et effrayés, Jésus ressuscité est venu à eux pendant environ quarante jours, les relevant, fortifiant leur foi, puis leur ordonnant de se rendre à Jérusalem. » Les disciples, dispersés jusqu’en Galilée, ont pu finalement revenir à Jérusalem après avoir rencontré le Christ ressuscité et être équipés de la “foi en la résurrection”. C’est un témoignage éloquent de la puissance que déploie la résurrection au sein de la communauté de foi, et son point de départ se trouve précisément dans la chambre haute de Marc.
Mais pourquoi fallait-il impérativement que ce soit Jérusalem ? C’est en effet la ville où Jésus a été arrêté et exécuté. Pour les disciples, elle restait associée à des souvenirs extrêmement pénibles et angoissants. Après la crucifixion, beaucoup de ceux qui suivaient le Seigneur se sont dispersés. Pourtant, Jésus leur a explicitement ordonné : « Ne vous éloignez pas de Jérusalem et attendez ce que le Père a promis » (Ac 1.4-5). Ainsi, les disciples ont été rappelés dans l’endroit le plus dangereux et le plus redouté. Pour le pasteur David Jang, « l’œuvre de Dieu dépasse toujours notre attente et notre raison. La foi en la résurrection se révèle justement quand, dans le lieu le plus sombre, la plus grande espérance se manifeste ».
L’une des caractéristiques de la foi en la résurrection est la conviction que « la mort n’est pas la fin ». Un temps, les disciples se sont affaissés dans la crainte : « Jésus a été exécuté, nous serons sûrement les prochains. » Mais en voyant Jésus vaincre réellement la mort et revenir à la vie, ils ont fait l’expérience d’une « ère nouvelle, au-delà de la mort ». Dans Actes 1.3, on lit que Jésus ressuscité leur a parlé pendant quarante jours « des choses qui concernent le royaume de Dieu ». Or, ce « royaume de Dieu » ne désigne pas seulement une idée eschatologique ou philosophique vague, mais inclut une direction concrète sur la manière dont l’Église doit se fonder et avancer ici et maintenant. L’un des points clés est justement ce commandement : « Commencez à témoigner à partir de Jérusalem. »
Le pasteur David Jang explique : « On peut définir “l’expérience concrète de la foi en la résurrection” comme le fait de se relever exactement là où l’on était tombé et le plus vulnérable. » C’est la leçon centrale transmise par la chambre haute de Marc. Au début, lorsque les disciples se sont réunis dans cette chambre, ils devaient être dans un état de sidération, profondément silencieux. Juste après la crucifixion, le corps de Jésus avait été déposé dans un tombeau, et les autorités religieuses étaient prêtes à éliminer les derniers fidèles de Jésus. Ainsi, cette chambre haute était peut-être pour eux un « refuge sûr où se retrouver furtivement pour prier ». Mais le Seigneur leur a dit de ne pas s’arrêter là et d’attendre : non pas de rester passifs, mais d’attendre la puissance du Saint-Esprit. C’est cette descente du Saint-Esprit qui a transformé la chambre haute, passant d’un « abri de repli impuissant » à la « source d’une puissance nouvelle ».
En effet, dès que le Saint-Esprit est descendu (Actes 2), ils ne sont plus de simples disciples terrifiés, cachés dans l’ombre. Ce lieu de frayeur est devenu le théâtre de la certitude de la résurrection et de la puissance du Saint-Esprit. Les disciples sont alors sortis dans les rues de Jérusalem pour proclamer l’Évangile avec assurance. Selon le pasteur David Jang, « si la résurrection n’est qu’une doctrine, elle ne sert à rien. Mais lorsque la foi en la résurrection devient une force qui transforme réellement la vie, les gens finissent par dépasser leur peur, même au cœur même de Jérusalem, et agissent. »
Cette « foi agissante » parcourt tout le livre des Actes. Partant de Jérusalem, elle s’étend en Samarie, dans toute la Judée, jusqu’aux extrémités de la terre. Le premier acte de foi concrète apparaît dans l’événement de la Pentecôte en Actes 2 : ceux qui étaient cachés dans un « lieu clos » sortent pour prêcher l’Évangile, et en un seul jour, des milliers de personnes se repentent et reçoivent le baptême. L’étincelle initiale part de la chambre haute de Marc.
Par ailleurs, cette chambre est souvent comparée au « sein » ou à la « matrice » de l’Église. En effet, comme une vie nouvelle surgit à la naissance, un « nouvel ordre communautaire » a vu le jour dans cette chambre haute, nourri par la certitude de la résurrection et la puissance du Saint-Esprit. Pendant le ministère terrestre de Jésus, les disciples étaient en apprentissage, étudiant la Parole et marchant à ses côtés. Mais après l’Ascension et la venue du Saint-Esprit, ils deviennent les « piliers de la communauté ecclésiale » et se mettent à diffuser activement l’Évangile. La chambre haute est le cœur de cette transition, portée par la foi en la résurrection.
Pour comprendre la manière dont les disciples ont rencontré Jésus ressuscité, ont retrouvé leur mission et sont revenus à Jérusalem dans l’obéissance, on se réfère souvent à Jean 21, où Pierre est rétabli. Après avoir renié le Seigneur trois fois, Pierre est interrogé trois fois : « M’aimes-tu ? » Lorsqu’il confesse à nouveau son amour, il sort de sa chute et redevient « Pierre, le rocher ». À ce sujet, le pasteur David Jang souligne : « L’Église ne fonctionne pas avant tout par des programmes ou une organisation, mais tire sa force de “l’amour envers le Seigneur”. Et cet amour découle de la résurrection du Christ ; il se consolide lorsque, dans notre cœur, nous croyons et confessons la grâce qui nous a enveloppés. »
La chambre haute de Marc a été le lieu de cette « confession », de ce « repentir » et de cette « foi » vécus collectivement. Les disciples, qui avaient renié le Seigneur et s’étaient dispersés, se sont rassemblés à nouveau pour former une communauté et, grâce à la promesse de la résurrection et du Saint-Esprit, ont puisé le courage de surmonter leur désespoir. « Les récits de la Passion de Jésus en Matthieu 26 et suivants, le retour des disciples en Galilée dans Jean 21, puis leur retour à Jérusalem dans Actes 1, s’enchaînent pour former un seul continuum. C’est dans cette perspective que la foi en la résurrection peut délivrer un message concret pour l’Église d’aujourd’hui », insiste le pasteur David Jang.
Ainsi, la chambre haute de Marc est devenue « le lieu du passage de la peur à l’audace, de la dispersion au rassemblement, du reniement et de la honte au repentir et à la confession ». L’Église d’aujourd’hui doit méditer profondément cette réalité : « Si elle se cache dans la peur d’être critiquée ou persécutée par la société, elle a besoin du feu du Saint-Esprit qui est descendu autrefois dans la chambre haute de Marc. » C’est là une application actuelle de la foi en la résurrection. Croire en Jésus ressuscité, c’est être convaincu qu’Il continue à fonder l’Église, qu’Il la soutient pour proclamer l’Évangile au cœur du monde, et qu’ainsi nous pouvons « partir de Jérusalem jusqu’aux extrémités de la terre » dans la joie.
Dans cette optique, le pasteur David Jang explique : « Il ne faut pas considérer la chambre haute de Marc comme un lieu uniquement historique, mais chaque Église doit rétablir sa propre “chambre haute”. » Il peut s’agir de « l’endroit où nous aspirons à la présence du Saint-Esprit et où nous prions », ou encore de « l’espace où nous confessons ensemble la foi en la résurrection ». Se réunir dans cette chambre haute ne signifie pas s’y cloîtrer, mais « s’y préparer à sortir dans le monde avec la puissance reçue ». Comme Jésus l’a annoncé : « Dans peu de jours, vous serez baptisés du Saint-Esprit » (Ac 1.5). Puisque cette promesse s’est accomplie dans la chambre haute, l’Église primitive ne s’est pas éteinte, mais s’est répandue jusqu’aux confins de la terre.
2. Le choix de Matthias : la restauration de l’Église en comblant la vacance laissée par Judas
Dans la seconde partie d’Actes 1, les disciples se chargent de pourvoir au poste vacant de douzième apôtre. Entre Pâques et la Pentecôte, l’un des enjeux majeurs était la manière de gérer « la trahison de Judas Iscariote, l’un des douze, et les suites de cette tragédie ». Judas, après avoir livré Jésus pour trente pièces d’argent, est mort en se pendant. Il avait acheté un champ avec ce gain mal acquis, puis sa chute dans ce même champ provoqua l’éclatement de ses entrailles (Ac 1.18). Il est ainsi devenu le symbole du « prix du sang ».
Pour le pasteur David Jang, « le drame de Judas est celui de la plus grande faute commise par celui qui était pourtant le plus proche ». Au sein du groupe des disciples, Judas gérait la bourse, assumant ainsi une fonction financière et charitable primordiale. De même, dans l’Église, s’occuper des ressources économiques nécessite une grâce abondante, car c’est aussi là que Satan peut aisément s’engouffrer. L’Église a besoin d’argent pour fonctionner, et l’argent peut éveiller intérêt et convoitise. C’est pourquoi l’Écriture avertit que « l’amour de l’argent est la racine de tous les maux » (1 Tm 6.10). Les Actes rapportent que l’Église primitive « mettait tout en commun et distribuait à chacun selon ses besoins » (Ac 2.45 ; 4.34), signalant la vigilance à ne pas s’enliser dans la corruption liée à l’argent.
Toutefois, Judas s’est laissé prendre à la convoitise et à ses calculs politiques, servant finalement d’agent à Satan pour vendre Jésus. Ses remords, trop tardifs, ne l’ont pas mené à la repentance véritable ; il a opté pour la solution extrême, se donnant la mort. Ainsi l’Église a-t-elle perdu l’un des Douze, laissant une blessure profonde. Les Douze symbolisaient les douze tribus d’Israël, tels des piliers spirituels. Ils étaient la « porte d’entrée » de la Nouvelle Alliance instaurée par le Christ. Avec un pilier détruit, il fallait reconstruire cette « porte » de toute urgence.
C’est dans Actes 1 que la communauté décide de combler ce vide. Pour y parvenir, l’Église primitive procède au choix d’un nouvel apôtre, Matthias. L’observation attentive du processus est instructive quant à la manière de réagir en temps de crise. En Actes 1.21-22, Pierre propose : « Il faut qu’un homme, qui nous a accompagnés tout le temps où le Seigneur Jésus a vécu parmi nous, depuis le baptême de Jean jusqu’au jour où il est enlevé, devienne avec nous témoin de sa résurrection. » Deux candidats sont alors présentés, et l’assemblée procède à un tirage au sort pour désigner Matthias.
Le pasteur David Jang souligne plusieurs points saillants. Premièrement, la communauté primitive place « le témoignage de la résurrection » au premier rang des critères. L’Église existe pour proclamer le Christ ressuscité. La mission fondamentale d’un apôtre est de porter cette annonce. Matthias et le second candidat avaient eux aussi suivi Jésus tout au long de son ministère, de sa souffrance, de sa mort et de sa résurrection. Deuxièmement, la méthode de sélection fait apparaître une harmonieuse combinaison : la concertation communautaire, la prière et, au dernier stade, le tirage au sort qui illustre la souveraineté de Dieu. Ainsi, l’Église n’a pas agi par calcul humain ou arrangement politique. Troisièmement, même si le reste du Nouveau Testament ne détaille pas la suite du ministère de Matthias, le fait est que la reconstitution du cercle des Douze ouvre la voie à la descente du Saint-Esprit à la Pentecôte.
Pourquoi ce choix a-t-il tant d’importance ? Juste avant la venue du Saint-Esprit, la première tâche de l’Église a été de « restaurer l’équipe apostolique (le collège des Douze) ». La trahison de Judas, sa mort, et la vacance qu’il laissait devaient être résolues pour que l’unité de la communauté soit totale. Les cœurs étaient encore marqués par la blessure : « L’un des nôtres a livré le Seigneur. » Les disciples avaient besoin de rétablir une confiance mutuelle. Après s’être rassemblés à Jérusalem, ils se sont consacrés ensemble à la prière, mus par le désir ardent « qu’une telle trahison ne se reproduise plus ».
Le pasteur David Jang précise : « La chute et la trahison d’un responsable peuvent détruire toute la communauté. Judas illustre ce risque au plan symbolique. » Consciente de cette menace, l’Église primitive n’a pas cherché à oublier ou à dissimuler l’épisode de Judas, mais l’a abordé en toute transparence dès son origine. Les Actes évoquent ouvertement le « champ du sang » (cf. Mt 27.5-8). L’Église considérait cette histoire douloureuse comme faisant partie de l’accomplissement prophétique (prophéties de Jérémie et des Psaumes). La communauté entière a prié, a reconnu la portée spirituelle de ce drame, puis a choisi un nouveau responsable.
Matthias remplace Judas, et les Douze sont à nouveau au complet, unis pour attendre la venue du Saint-Esprit à la Pentecôte. Sous la puissance du Saint-Esprit, ils proclameront l’Évangile à partir de Jérusalem, jusque dans toute la Judée, en Samarie, et jusqu’aux confins du monde. Sans une résolution claire de la blessure laissée par la trahison et la mort de Judas, l’Église aurait pu s’effondrer avant même de commencer. Au contraire, l’Église a traité la plaie ouvertement et est sortie grandie de cette épreuve.
Par ailleurs, l’erreur et la chute de Judas ont laissé à l’Église primitive une mise en garde : « Personne n’est à l’abri. » Judas a vécu trois ans auprès de Jésus, a été témoin de miracles, a entendu l’enseignement de la Parole, et on lui avait confié la gestion des biens communs, signe de confiance. Malgré cela, il s’est effondré. Le pasteur David Jang avertit : « Il en va de même aujourd’hui pour les responsables : quelle que soit leur réputation, ils doivent constamment se nourrir de la Parole, se laisser conduire par le Saint-Esprit et demeurer vigilants dans la prière. Sans cela, Satan peut à tout moment les piéger. » L’histoire de l’Église est jalonnée d’exemples de traîtres et de chutes. Mais Dieu a, à chaque fois, suscité de nouvelles personnes (des “Matthias”) pour combler les vides et poursuivre l’histoire du salut.
Que retenir du choix de Matthias pour l’Église d’aujourd’hui ? En premier lieu, il illustre la nécessité, pour l’Église, de désigner ses responsables dans l’unanimité et la prière, en valorisant avant tout le « témoignage solide de la résurrection » et la qualité de la communion avec le Christ. Les compétences ou la notoriété ne priment pas. C’est la confession de foi en la résurrection et l’authenticité du vécu spirituel qui importent. Deuxièmement, lorsqu’un acte grave se produit – trahison ou blessure profonde –, il ne faut pas se contenter de l’imputer à l’individu, mais engager la communauté toute entière dans un chemin de guérison et de restauration. L’Église primitive n’a pas gaspillé son énergie à accabler Judas. Elle a cherché à comprendre, à se rattacher aux Écritures, et à bâtir un avenir nouveau. Troisièmement, toute cette démarche visait ultimement la venue du Saint-Esprit. Pourquoi traiter cette affaire avant la Pentecôte ? Parce qu’il était nécessaire de purifier la communauté afin de la disposer à recevoir la pleine mesure de l’Esprit. On ne saurait espérer un puissant réveil spirituel si l’injustice et le péché persistent. Selon David Jang, « l’Église qui aspire à l’action de l’Esprit, au réveil et à la croissance, doit d’abord regarder en face son péché et son injustice, puis traiter avec sincérité la chute de ses responsables, sans la couvrir d’un voile trompeur. »
Si l’on considère le remplacement de Judas par Matthias comme un « symbole », il exprime que « même si l’Église subit des blessures graves, elle trouvera toujours une voie de restauration dans le plan de Dieu ». Judas n’a pas été « condamné d’avance » ; il a librement emprunté la route qui l’a conduit au drame. L’Église invite chacun au salut et à la réconciliation, mais si un individu s’y refuse obstinément, le malheur advient. L’Église ne cache pas ce malheur : elle recourt à la repentance et à la rénovation pour se diriger vers une voie nouvelle, rendue possible par la « foi en la résurrection ».
La foi en la résurrection signifie croire que « Dieu triomphe de la mort et redonne la vie ». Judas est celui qui a précipité la mort de Jésus, puis est mort à son tour sous le poids de sa culpabilité. Mais Jésus, en ressuscitant, a ouvert la porte à la « Vie ». Bien que la trahison de Judas ait causé choc et terreur, la résurrection du Seigneur a apporté une espérance plus forte que le désespoir. Une fois Matthias choisi pour combler le vide, les Douze se sont unis pour attendre l’Esprit. Quand il est descendu à la Pentecôte, ils ont entrepris de proclamer hardiment l’Évangile à Jérusalem. En lisant Actes 1 à 4, on voit Pierre et Jean, confrontés aux gardes du Temple et aux autorités religieuses, affirmer sans crainte : « Il n’y a de salut en aucun autre nom que Jésus » (Ac 4.12). Pierre n’est plus celui qui reniait Jésus avant le chant du coq. Il est désormais un homme rétabli dans la chambre haute de Marc, rempli du Saint-Esprit, et représentant de ce « collège apostolique reconstitué » auquel Matthias s’est joint. Cette transformation porte un message puissant : « Même la vacance laissée par la chute d’un responsable est comblée par Dieu pour la restauration et l’avancée de l’Église. »
Le pasteur David Jang commente : « Comme si l’Église avait pansé une plaie sanglante après la perte de Judas, elle a retrouvé un fonctionnement sain en accueillant Matthias. » L’expérience de l’Église primitive n’est pas unique : de nos jours, les conflits, la corruption et les trahisons peuvent frapper nos communautés. Dans pareilles circonstances, il faut rechercher « le Matthias » que Dieu veut susciter. Il s’agit de réorganiser la communauté et de l’ouvrir à l’action de l’Esprit. L’Église est « appelée à inaugurer sans cesse de nouvelles époques sous la conduite de l’Esprit », tout en traversant des carrefours de « trahison et de repentance, de mort et de résurrection, d’échec et de relèvement ». Judas a poussé Jésus vers la mort, Matthias a ouvert la porte à une expansion de l’Évangile. Pierre, après avoir fui en reniant Jésus, a été retrouvé par le Seigneur (Jean 21). Puis, dans les Actes, il devient l’évangéliste intrépide qui, le premier, prêche la Parole. Une fois la redéfinition des apôtres achevée, la chambre haute de Marc devient le théâtre d’une effusion spectaculaire du Saint-Esprit. Dès ce moment, l’Église sort de sa cachette pour gagner la rue, proclamant l’Évangile et bouleversant Jérusalem.
Cette expérience est-elle encore possible aujourd’hui ? « Assurément oui », affirme le pasteur David Jang. « À condition que l’Église actuelle croie dans la puissance concrète de la résurrection, qu’elle affronte avec humilité ses problèmes internes (trahisons, corruptions, défiance), et qu’elle cherche la direction du Saint-Esprit. » La chambre haute de Marc et le choix de Matthias illustrent la façon dont l’Église peut expérimenter la puissance du Christ ressuscité dans la vie quotidienne et surmonter les conflits et blessures internes pour entrer dans une nouvelle phase de son histoire.
Au cœur de la foi chrétienne réside la foi en la résurrection, c’est-à-dire la conviction que « la mort, le désespoir et l’échec ne sont jamais le mot de la fin ». Malgré la sombre figure de Judas, l’Église poursuit la grande œuvre de l’Évangile avec Matthias. Bien que Pierre ait renié Jésus, le Seigneur est venu à sa rencontre (Jean 21), l’a rétabli, et c’est ainsi que la chambre haute de Marc l’a fortifié pour l’envoyer avec puissance au milieu du monde. Non plus dans la passivité, mais avec assurance grâce au Saint-Esprit. D’où l’on voit que, dès ses débuts, l’Église primitive a démontré que mort et échec peuvent être transcendés par la résurrection. Lorsque Pierre et les apôtres, au cœur de Jérusalem, proclament l’Évangile à ceux-là mêmes qui les menaçaient de mort, on saisit la réalité explosive de cette foi en la résurrection.
Dès lors, « qu’est-ce que l’Église ? » On peut répondre : « C’est la communauté née dans la chambre haute de Marc à Jérusalem, qui a surmonté la trahison de Judas en désignant Matthias, et qui, grâce à l’effusion du Saint-Esprit, s’est lancée pour gagner le monde entier. » Cette identité transcende l’espace et le temps. Tant que l’Église conserve la foi en la résurrection, elle ne fermera pas ses portes. Même si elle est ébranlée par des crises internes, Dieu lui suscitera de nouveaux guides pour rebâtir et répandre encore l’Évangile. C’est l’essence de la continuité de l’histoire du salut, de Jérusalem à Rome, et jusqu’au monde entier : c’est l’héritage que l’Église contemporaine doit recevoir.
En conclusion, le pasteur David Jang exhorte : « Nous devons rétablir notre “chambre haute” aujourd’hui, et quand surviennent des trahisons ou des échecs, plutôt que de les recouvrir, il faut pratiquer la repentance et une restauration transparente afin de saisir les nouvelles opportunités que Dieu nous offre. Au centre de tout se trouve le Seigneur ressuscité, avec la mission qui incombe à l’Église. » C’est en répondant à cet appel que l’histoire des Actes se poursuit inlassablement de nos jours.
1. El Aposento Alto de Marcos en Jerusalén, el lugar de la fe en la resurrección
El Aposento Alto de Marcos en Jerusalén es un lugar con un significado muy especial en la historia de la Iglesia cristiana, y al mismo tiempo, un espacio que brinda una profunda visión espiritual a las comunidades eclesiásticas de hoy. Según se relata, en este aposento ocurrió la escena fundamental que abarca los capítulos 1 y 2 del libro de Hechos, donde nació la Iglesia primitiva y sucedió el acontecimiento de la venida del Espíritu Santo. En Hechos 1, se narra el momento en que el Jesús resucitado concluye su ministerio terrenal —justo antes de ascender— dando a sus discípulos sus últimas instrucciones y promesas. A su vez, este Aposento Alto trasciende el concepto de mero espacio físico, pues simboliza “el lugar donde la Iglesia primitiva, aun en medio del temor, se reunió en el corazón de Jerusalén y provocó un cambio histórico”.
El pastor David Jang describe esta escena así: “Aunque los discípulos estaban paralizados por el miedo y el terror, después de su resurrección, Jesús se les apareció durante unos 40 días, los restauró y les infundió fe, haciéndolos reunirse de nuevo en Jerusalén”. Los discípulos se habían dispersado hasta Galilea, pero solo tras encontrarse con el Jesús resucitado pudieron volver a Jerusalén, armados con la “fe en la resurrección”. Este caso muestra claramente el poder transformador de la resurrección dentro de la comunidad de fe, y el Aposento Alto de Marcos se ubica en el punto de partida de dicha transformación.
Ahora bien, ¿por qué debía ser precisamente Jerusalén? Fue la ciudad en que Jesús fue arrestado y crucificado, un lugar asociado a recuerdos sumamente dolorosos y aterradores para los discípulos. Tras la muerte de su Maestro en la cruz, muchos de sus seguidores se dispersaron por completo. Sin embargo, el Señor mismo, con su propia voz, les encomendó: “No os vayáis de Jerusalén, sino esperad la promesa del Padre” (Hch 1:4-5), insistiendo en que se reunieran de nuevo en aquel lugar que tanto temor les provocaba. El pastor David Jang lo interpreta así: “La obra de Dios siempre trasciende nuestras expectativas y nuestro sentido común. La fe en la resurrección se manifiesta cuando, en el lugar más desesperante, se ejerce el poder que transmite la mayor esperanza”.
La característica de la fe en la resurrección radica en la convicción de que “la muerte no es el fin”. Aunque los discípulos, en algún momento, temieron que tras la ejecución de Jesús también ellos fueran arrestados y ejecutados, al contemplar que verdaderamente venció el poder de la muerte y volvió a la vida, experimentaron “una nueva era más allá de la muerte”. Por eso, en Hechos 1:3, se testifica que, durante los 40 días posteriores a su resurrección, Jesús enseñó “acerca del reino de Dios”. Este “reino de Dios” no alude a una mera idea escatológica o filosófica, sino a una dirección práctica acerca de con qué poder debía edificarse la Iglesia en la realidad presente y cómo debía avanzar. Uno de sus puntos centrales era: “Partid desde Jerusalén”.
El pastor David Jang señala: “Podemos definir como ‘la manifestación real de la fe en la resurrección’ el hecho de que las personas se levanten de nuevo en el lugar en que más débiles se sintieron y cayeron”. Así subraya la enseñanza que deja el Aposento Alto de Marcos. Cuando los discípulos se reunieron al principio en ese aposento, seguramente el ambiente era uno de extremo sigilo. Tras los acontecimientos de la cruz, el cuerpo de Jesús yacía en el sepulcro, y las autoridades planeaban perseguir a quienes habían seguido al Crucificado. Por tanto, aquel aposento probablemente se utilizó solo como un refugio momentáneo para orar en secreto. Sin embargo, el Señor no dijo “deténganse ahí y no hagan nada”, sino “esperen hasta recibir el Espíritu Santo”. Así, aquel lugar pasó de ser un “refugio impotente” a convertirse en la “fuente de poder”, gracias a la venida del Espíritu Santo.
En efecto, cuando el Espíritu Santo descendió (Hechos 2), ellos dejaron de ser discípulos temerosos escondidos tras cerradas puertas. El aposento, antes marcado por el pánico, se transformó en el escenario donde se manifestó la convicción de la resurrección y la potencia del Espíritu Santo, de manera que los discípulos salieron a las calles de Jerusalén a predicar el evangelio con valentía. Según el pastor David Jang: “La resurrección, si se queda solo a nivel doctrinal, no tiene sentido; sin embargo, cuando la fe en la resurrección se convierte en el poder que trastoca la vida real, entonces incluso dentro de la ciudad de Jerusalén, donde el temor abundaba, se ve a la gente actuar superando el miedo”.
Este “actuar la fe” se evidencia en todo el libro de Hechos: se inicia en Jerusalén, pasa por Samaria y toda Judea, y se extiende hasta lo último de la tierra en un gran itinerario de proclamación histórica del evangelio. La primera escena de esta fe puesta en acción se ve en el suceso de Pentecostés (Hechos 2), cuando aquellos que antes estaban escondidos en el aposento salen a la calle, proclaman el evangelio y, en un solo día, miles se arrepienten y reciben el bautismo. Y el punto de ignición de este fenómeno fue precisamente el Aposento Alto de Marcos.
Además, este aposento ha sido llamado “la matriz” o “el útero de la Iglesia”. La razón es que el surgimiento de una nueva era se asemeja al nacimiento de una nueva vida: mediante la certeza en el Señor resucitado y la venida del Espíritu Santo, brotó allí una “nueva comunidad”. Mientras Jesús vivía entre ellos, los discípulos se encontraban en un período de formación (recibían enseñanza y caminaban junto al Maestro). Sin embargo, tras la ascensión de Jesús y la llegada del Espíritu Santo, estos discípulos se convirtieron en “pilares de la comunidad eclesiástica”, asumiendo la responsabilidad de expandir el evangelio por iniciativa propia. El corazón de ese punto de inflexión fue el Aposento Alto, y la fuerza motora que lo impulsó fue la fe en la resurrección.
Recordando la escena de la restauración de Pedro en Juan 21, podemos comprender cómo se encontraron con el Jesús resucitado y cómo confirmaron de nuevo su misión para regresar a Jerusalén en obediencia. Luego de que Pedro negara tres veces a Jesús, el Maestro le preguntó tres veces: “¿Me amas?”, y Pedro confesó su amor. Solo entonces aquel discípulo, derrumbado por su traición, pudo abrazarse a sí mismo y renacer como la “roca” (Pedro). Para el pastor David Jang, este pasaje enseña que “la Iglesia no se mueve por programas o capacidad organizativa, sino que su fuerza motriz se halla en el ‘amor al Señor’. Ese amor nace de la resurrección del Señor y se afianza en la gracia de Aquel que nos acoge cuando la confesamos con nuestra boca y la creemos en el corazón”.
Así, el Aposento Alto de Marcos también representaba esa “confesión”, “arrepentimiento” y “fe” reunidos en un mismo espacio. Los discípulos que lo negaron, que se dispersaron, regresaron y formaron una sola comunidad, hallando el coraje para sobreponerse a la desesperanza y congregarse, gracias a la resurrección del Señor y a la promesa del Espíritu Santo. “Cuando relacionamos la escena de la pasión de Jesús (Mateo 26 y siguientes), con la imagen de los discípulos que vuelven a Galilea en Juan 21 y finalmente regresan a Jerusalén en Hechos 1, comprendemos el mensaje real de la fe en la resurrección para la Iglesia contemporánea”, recalca David Jang.
De este modo, el Aposento Alto de Marcos se convirtió en el lugar de “la transformación: del temor a la valentía, de la dispersión a la reunión, de la vergüenza y negación al arrepentimiento y la confesión”. La Iglesia de hoy necesita meditar profundamente sobre este punto. El mensaje es que “si la Iglesia, llegado cierto momento, permanece escondida por temor a ser señalada o perseguida socialmente, necesita de nuevo la llama del Espíritu que descendió en el Aposento Alto de Marcos”. Esta es la aplicación presente de la fe en la resurrección. Al creer que Jesús, vencedor de la muerte, sigue obrando en medio de nosotros para edificar Su Iglesia y respaldarla en su misión de predicar valientemente el evangelio en pleno corazón del mundo, podemos emprender el camino “desde Jerusalén hasta lo último de la tierra” con gozo.
A la luz de todo esto, el pastor David Jang insiste en que “no consideremos el Aposento Alto de Marcos solo como un lugar histórico, sino que cada Iglesia hoy restaure su propio ‘aposento alto’”. Podría ser “el lugar donde anhelamos la presencia del Espíritu y oramos” o “el lugar donde sostenemos y confesamos unidos la fe en la resurrección”. Reunirse a orar en el aposento alto no es huir o esconderse, sino “detenerse a recibir poder con el fin de salir al mundo”, tal como Jesús prometió a sus discípulos: “Dentro de no muchos días seréis bautizados con el Espíritu Santo” (Hch 1:5). Esa promesa se cumplió en el Aposento Alto, y así la Iglesia primitiva, lejos de ser exterminada, se extendió hasta los confines del mundo.
2. La elección de Matías: la restauración de la Iglesia al llenar el vacío de Judas
En la segunda parte de Hechos 1, los discípulos pasan por el suceso de completar el puesto del duodécimo apóstol. En ese tiempo intermedio entre la Pascua de resurrección y Pentecostés, uno de los grandes temas era “¿Qué hacer con la traición de Judas Iscariote, a quien Jesús había llamado para ser uno de los Doce, y con las consecuencias de sus actos?”. Judas vendió a Jesús por treinta monedas de plata y luego se suicidó. Además, según Hechos 1:18, con el dinero de su injusto salario compró un terreno, y allí pereció con sus entrañas desparramadas, convirtiéndose en un símbolo de la “tragedia del precio de sangre”.
El pastor David Jang describe la tragedia de Judas como “el crimen más grave cometido por alguien que estaba en la posición más cercana a Jesús”. Judas era el encargado del dinero dentro de la comunidad de discípulos; es decir, manejaba las finanzas y el servicio, un rol de gran importancia. Lo mismo ocurre en la Iglesia: a menudo, quienes administran las finanzas y el servicio han de hacerlo con la mayor llenura de gracia, pues se trata de un puesto crucial, pero también puede ser el canal por donde se filtren las tentaciones y el engaño de Satanás. Esto ocurre porque para sostener la comunidad se necesita dinero, y ese mismo dinero puede tocar intereses mundanos o ambiciones personales. Por eso la Biblia reitera advertencias contra “el amor al dinero, raíz de toda clase de males” (1 Ti 6:10), y relata que la Iglesia primitiva “tenía todas las cosas en común y repartía a cada uno según su necesidad” (Hch 2:45, 4:34) para no corromperse atándose a lo material.
Sin embargo, Judas, preso de la codicia y de cálculos políticos, sucumbió a la influencia de Satanás y entregó a Jesús. Aunque sintió remordimiento poco después, no llegó a un verdadero arrepentimiento, sino que puso fin a su vida de forma trágica, dejando a la Iglesia con la penosa experiencia de haber “perdido a uno de los Doce”. Los Doce Apóstoles simbolizaban las doce tribus de Israel y eran como “las puertas” de la nueva comunidad pactada, designada por el mismo Jesús. Una de esas puertas se vino abajo; restaurarla era una tarea urgente.
Así, en Hechos 1, la comunidad primitiva se reúne para subsanar esa vacante. En esa asamblea eclesial, se elige al nuevo apóstol para ocupar aquel lugar, que resultó ser Matías. Al observar el proceso, aprendemos cómo la Iglesia aborda sus crisis. En Hechos 1:21-22, Pedro propone: “Debemos buscar a alguien que sea testigo de la resurrección de Jesús con nosotros. Ha de ser uno que haya estado con nosotros todo el tiempo, desde el bautismo de Juan hasta el día en que el Señor fue llevado al cielo”. Finalmente, surgieron dos candidatos, y la Iglesia primitiva, por medio de la oración y la suerte, eligió a Matías.
El pastor David Jang destaca varios puntos relevantes:
La primitiva Iglesia consideró “ser testigo de la resurrección” como requisito principal. El propósito de la existencia de la Iglesia es dar testimonio del Señor resucitado, por lo que la misión fundamental de un apóstol también era proclamar la resurrección. Matías, al igual que el otro candidato, era uno de los que habían presenciado de cerca el ministerio, el sufrimiento, la muerte y la resurrección de Jesús, acompañando siempre a los Doce.
Llama la atención el proceso de decisión: se acuerda en comunidad, se ora y, finalmente, se recurre al sorteo (echan suertes). De esta manera, la Iglesia demuestra que no escoge líderes por cálculos humanos ni compromisos políticos, sino que rinde su destino a la soberanía divina.
Aunque la Biblia no describe en detalle los logros posteriores de Matías, sí muestra que, gracias a esta elección, los Doce recobraron su totalidad y estuvieron listos para recibir al Espíritu Santo en Pentecostés.
¿Por qué es importante este suceso? Antes de la venida del Espíritu, lo primero que hizo la Iglesia fue “restaurar el equipo de liderazgo (el grupo de apóstoles)”. Probablemente, sin sanar la herida y el vacío dejados por Judas, la Iglesia difícilmente podría haber estado unida. Seguramente en los corazones persistía el resentimiento de “uno de los nuestros traicionó al Señor”, y la confianza mutua entre los discípulos debía ser renovada con urgencia. Asimismo, los discípulos, que se habían dispersado, se reunieron de nuevo en Jerusalén para orar y comprometerse con firmeza: “Nunca más volverá a ocurrir una traición así”.
El pastor David Jang señala: “La historia de Judas muestra cuán profundamente puede desmoronarse la comunidad debido a la traición de un líder dentro de la Iglesia”. Por ello, la Iglesia primitiva no silenció ni escondió el caso de Judas, sino que en los albores mismos de su surgimiento se encargó del problema con transparencia. El dinero ensangrentado fue arrojado al templo y sirvió para comprar “el Campo de Sangre” (Mt 27:5-8), algo que se hizo público. La Iglesia, lejos de ocultar esa vergüenza, la interpretó como parte del cumplimiento de la profecía (en Jeremías o los Salmos), oró unánimemente y designó al sucesor de Judas con la convicción de la Palabra.
Así, Matías heredó el lugar de apóstol y la Iglesia recuperó el número de Doce, fortaleciéndose en la unidad espiritual para recibir la efusión del Espíritu en Pentecostés. Gracias a la unción del Espíritu, los apóstoles partieron desde Jerusalén para llevar el evangelio por toda Judea, Samaria y hasta lo último de la tierra. Si la división y la herida causadas por Judas hubiesen quedado sin resolver, la Iglesia se habría derrumbado incluso antes de comenzar. Pero, por el contrario, al exponer la herida y resolverla públicamente, la Iglesia se renovó y maduró.
Bajo otra perspectiva, la caída y muerte de Judas infundió en la Iglesia primitiva la conciencia de que “nadie puede confiarse en este camino”. Un hombre que anduvo junto a Jesús durante tres años, presenció milagros y escuchó su Palabra, e incluso fue encargado de la bolsa de dinero, se desplomó. Esto recuerda a todos los miembros de la comunidad que en cualquier momento pueden ser blanco de la tentación si no vigilan en oración y permanecen en la Palabra y el Espíritu. El pastor David Jang advierte: “Lo mismo puede ocurrir con los líderes actuales de la Iglesia. Por muy extraordinario que alguien parezca, si no se examina continuamente en la Palabra y en el Espíritu, y no vela en oración, Satanás puede utilizarlo en cualquier momento”. De hecho, la historia eclesiástica está llena de traiciones y caídas. Sin embargo, cada vez, Dios suscita nuevas personas —como Matías— para ocupar el vacío y proseguir su obra.
¿Qué aprendemos hoy de la elección de Matías?
Que la Iglesia ha de cubrir los puestos de liderazgo más importantes mediante la oración y el consenso comunitario, evaluando, sobre todo, la “fe genuina en la resurrección” y la “comunión constante con el Señor”. Capacidades, fama o habilidades políticas no pueden ser el criterio. Es decisivo el testimonio de “haber estado con el Señor en su sufrimiento, muerte y resurrección” y poder confesar esa fe de corazón.
Cuando surgen grandes heridas en la Iglesia, ya sea por la traición de un líder o por otro motivo, no se debe tratar como un problema individual ni esconderlo, sino que la comunidad entera ha de sufrir, orar y buscar “la forma de sanar” a través de la Palabra y la oración. Tras la caída de Judas, la Iglesia primitiva no malgastó energías en criticarlo sin más, sino que buscó en la Escritura y la revelación el modo de abrir “un nuevo camino”.
Todo este proceso apuntaba, en última instancia, a la venida del Espíritu Santo. ¿Por qué la Iglesia, antes de Pentecostés, se ocupó de este asunto? Porque necesitaban presentarse “en una condición íntegra” para recibir al Espíritu. Si la injusticia y el caos no hubieran sido subsanados, habrían dificultado la gran obra del Espíritu. El pastor David Jang enfatiza: “Antes de hablar del mover del Espíritu, el avivamiento o el crecimiento, la Iglesia debe tratar con sinceridad el pecado y la injusticia en su interior, y si hay líderes caídos, no encubrirlos, sino buscar la sanación genuina”.
En ese sentido, el paso de “dejar atrás a Judas y levantar a Matías” es un símbolo de que, “aunque la Iglesia sufra la peor de las heridas, Dios siempre proporciona un camino de restauración dentro de Su plan”. Por supuesto, Judas no fue rechazado desde el inicio; él mismo eligió su camino y terminó en la fatalidad. La Iglesia extiende a todos la invitación a la salvación, pero si una persona la rechaza hasta el final, la tragedia es inevitable. Sin embargo, la Iglesia, en vez de ocultar la tragedia, debe buscar la fuerza de la renovación y el arrepentimiento. En ese camino, la “fe en la resurrección” resulta clave.
La fe en la resurrección es la creencia en “el poder de Dios que destruye la muerte y trae vida nueva”. Judas fue quien desencadenó la muerte de Jesús; luego el remordimiento lo consumió, mas Jesús resucitó, abriendo la senda de la vida. El impacto y el miedo que dejó la traición de Judas se superó con la esperanza que brota de la resurrección de Jesús. Cuando Matías llenó ese vacío, los Doce recobraron su unidad y esperaron unidos al Espíritu Santo. Con la venida del Espíritu, empezaron a predicar el evangelio con valentía en Jerusalén. En los primeros capítulos de Hechos (del 1 al 4), Pedro y Juan, ante la guardia del templo y las autoridades religiosas, declararon sin temor: “No hay otro nombre bajo el cielo, dado a los hombres, en que podamos ser salvos” (Hch 4:12). Es evidente que este Pedro ya no es el mismo que negó a Jesús tres veces antes de que el gallo cantase. Ahora es un hombre restaurado en el Aposento Alto de Marcos, lleno del Espíritu, y representante de los “Doce Apóstoles completos” junto a Matías, predicando con denuedo el evangelio. Y en ello se encierra un poderoso mensaje: “Dios también ha restaurado el puesto de aquel líder caído”.
El pastor David Jang comenta que, “así como la Iglesia experimentó sanidad tras perder a Judas y ganar a Matías, del mismo modo la Iglesia actual, herida y ensangrentada, puede recibir sanidad y ser llenada de ‘vino nuevo’”. No es solo historia antigua, sino que en la actualidad abundan conflictos, corrupción y traiciones en la Iglesia. Siempre se plantea la cuestión de cómo escoger a un “nuevo Matías” para ordenar la comunidad y disponerse a recibir la obra del Espíritu.
La Iglesia es “la comunidad que abre una era nueva por medio del Espíritu”, al tiempo que atraviesa muchas intersecciones entre “traición y arrepentimiento, muerte y resurrección, desaliento y restauración” para crecer. Judas Iscariote aceleró la muerte de Jesús; Matías llenó aquel lugar vacío, propiciando la expansión del evangelio. Pedro huyó negando al Señor, pero Jesús lo buscó de nuevo en Juan 21, para que confesara su amor, y en Hechos se convirtió en el primer predicador. Una vez reestructurados los apóstoles, la Iglesia primitiva contempló en el Aposento Alto la venida del Espíritu. Desde ese instante, la Iglesia no se ocultó más, sino que salió a predicar el evangelio, provocando un gran revuelo en Jerusalén.
¿Puede la Iglesia de hoy experimentar algo similar? Para el pastor David Jang, “por supuesto que sí. Sin embargo, la condición es que la Iglesia crea realmente en el poder de la resurrección, confronte sus problemas internos (traición, corrupción, desconfianza) con arrepentimiento y oración, y busque la guía total del Espíritu”. El Aposento Alto de Marcos y la elección de Matías ilustran perfectamente cómo la Iglesia vive de manera tangible el poder de Jesucristo resucitado y cómo supera los conflictos y heridas internas para iniciar una nueva etapa.
La esencia del cristianismo, representada por la fe en la resurrección, proclama que “la muerte, la desesperanza y el fracaso de este mundo no son la última palabra”. Incluso ante el caso desesperanzador de Judas Iscariote, la Iglesia prosiguió siglos de evangelización apoyada en un sustituto, Matías. Aunque en ocasiones seamos como Pedro, negando al Señor y abrumados por la culpa, en Juan 21 encontramos a un Señor que vuelve para restaurarnos, y, por esa gracia, somos conducidos al Aposento Alto de Marcos, no para permanecer en una impotencia sin salida, sino para recibir el poder del Espíritu y salir al corazón del mundo.
Así, la Iglesia primitiva culmina su trayectoria en el último versículo de Hechos 28 con la frase “sin impedimento alguno”, proclamando que nada pudo detener la propagación del evangelio. Pablo anuncia el evangelio incluso en su prisión en Roma, y Pedro, según la tradición, terminó su carrera crucificado cabeza abajo. Pero incontables discípulos ocuparon su lugar, de modo que, aunque la Iglesia sufra vacilaciones y tropiezos, por la fe en la resurrección y el poder del Espíritu se levanta una y otra vez. Que uno de los Doce cayera no impidió que Dios restaurara el apostolado y extendiera Su obra hasta los confines de la tierra.
La elección de Matías sintetiza tanto la “restauración” como el “avance”. Al sanar la herida interna de la Iglesia y basarse en la fe en la resurrección, se abre un horizonte de mayor alcance. Ese mensaje sigue siendo vigente hoy, donde cada líder enfrenta multitud de conflictos y problemas en su campo ministerial. Volver la mirada hacia la Iglesia primitiva nos enseña que la respuesta está en “la sólida confesión de la resurrección, la espera en el Espíritu y la transparencia comunitaria”.
El pastor David Jang, a modo de conclusión, expresa: “La resurrección es poder. Cuando ese poder obra en nuestro corazón, vivifica a las personas, a la Iglesia y al Cuerpo de Cristo. Por grande que sea el traidor, la Iglesia, con la ayuda de Dios, puede hallar la vía de la restauración y un nuevo comienzo. Así como la caída de Judas no significó el fin de la historia eclesiástica, las profundas heridas que enfrentamos hoy tampoco pueden anular la promesa del Reino de Dios”.
Esta es la razón por la que “el Aposento Alto de Marcos y la elección de Matías” se vinculan de modo decisivo. El Aposento Alto de Marcos fue el lugar donde los discípulos escondidos, llenos de miedo, recibieron al Espíritu y comenzaron a predicar con valentía. La elección de Matías, por su parte, ilustra cómo la Iglesia superó la traición y la muerte de uno de los suyos, recuperando su “comunidad completa”. Ambas historias muestran cómo las dinámicas de traición, negación y miedo en la Iglesia se transforman en restauración y poder mediante la resurrección del Señor y la presencia del Espíritu. Aun con lágrimas y recuerdos amargos, la gracia de Dios estuvo presente, y la Iglesia salió de Jerusalén para llevar el evangelio hasta los confines de la tierra.
Lo mismo se aplica a la Iglesia de hoy: si una comunidad, al igual que el Aposento Alto de Marcos, recupera su propio “aposento alto” y se llena de fe en la resurrección, y si sabe enfrentar el problema que dejó un “Judas” de manera tan transparente como se hizo al elegir a “Matías”, podrá experimentar una nueva obra del Espíritu. El acontecimiento de Pentecostés no fue un suceso aislado en un punto del pasado, sino un movimiento divino que puede repetirse en la Iglesia de cualquier generación y lugar.
Esta enseñanza se alinea con la insistencia del pastor David Jang en la “dimensión práctica” de la fe en la resurrección. Si solo entendemos la resurrección de Jesús de manera intelectual, se queda en doctrina. Pero la Iglesia primitiva hizo de la resurrección su fuerza vital, demostrando que incluso la traición, el sufrimiento y la muerte ya no eran el final. Que Pedro y los apóstoles predicaran con osadía en pleno centro de Jerusalén, frente a quienes deseaban matarlos, ejemplifica cuán real y explosiva podía ser su vivencia de la resurrección.
Por tanto, ante la pregunta “¿Qué es la Iglesia?”, podemos responder: “Es la comunidad que, partiendo del Aposento Alto de Marcos en Jerusalén, superó la traición de Judas restaurando su apostolado con Matías, recibió la venida del Espíritu en Pentecostés y se extendió hasta los confines de la tierra”. Tal identidad trasciende la historia y sigue siendo válida hoy. Mientras la Iglesia custodie la fe en la resurrección, sus puertas jamás se cerrarán definitivamente. Puede tambalear o caer de vez en cuando por causas internas o externas, pero Dios levantará nuevas personas para recomponerla y derramar otra vez Su Espíritu. Así prosigue la sucesión del evangelio “desde Jerusalén hasta Roma y luego por todo el mundo”, un patrimonio de fe que la Iglesia contemporánea ha heredado.
La exhortación final del pastor David Jang también apunta a ello: “Necesitamos restaurar el aposento alto actual; cuando ocurra traición y fracaso, en vez de encubrirlo, hemos de buscar una solución verdadera mediante el arrepentimiento y la transparencia, abrazando la oportunidad de un nuevo comienzo que Dios ofrece. En el centro se halla el ‘Señor Resucitado’ y la misión evangelizadora que Él desea cumplir a través de la Iglesia”. Si respondemos con obediencia a este llamado, la historia de Hechos no se detendrá, sino que continuará manifestándose en nuestros días.
1. The Upper Room of Mark in Jerusalem: The Site of Resurrection Faith
The Upper Room of Mark in Jerusalem holds a special place in Christian church history and is known for providing deep spiritual insights to today’s church community. This upper room serves as the setting for a very important scene spanning Acts 1 and 2: it is traditionally believed that the early church took shape there and that the Holy Spirit descended there. In addition, Acts 1 describes the events right before Jesus’ ascension—when the resurrected Jesus, completing His earthly ministry, gives His disciples final instructions and promises. More than just a physical space, this Upper Room symbolizes “the place where the early church gathered in the midst of fear right in the heart of Jerusalem and sparked a historical shift.”
Pastor David Jang refers to this scene by saying, “Although the disciples were trembling with fear, the resurrected Jesus came to them personally for about 40 days, restored them, and infused faith into them before gathering them again in Jerusalem.” The disciples had scattered as far as Galilee, but after meeting the resurrected Lord, they finally returned to Jerusalem armed with “resurrection faith.” This vividly shows how the resurrection operates powerfully within a faith community, with the Upper Room of Mark as the starting point of this experience.
Why, then, did it have to be Jerusalem? It was in Jerusalem that Jesus was arrested and executed. For the disciples, it was a place filled with terrifying and tragic memories. After Jesus was crucified, many of His followers scattered. However, Jesus specifically said, “Do not leave Jerusalem, but wait for the gift my Father promised” (Acts 1:4–5), thereby instructing the disciples to return to the most dangerous and frightening city. Pastor David Jang interprets this by saying, “God’s work always transcends our expectations and common sense. Resurrection faith becomes evident when it exerts the greatest hope in the most desperate place.”
A key characteristic of resurrection faith is the conviction that “death is not the end.” Though the disciples had once been paralyzed by the fear, “The Lord has been executed, and we too might be captured and killed,” they encountered Jesus, who had truly broken the power of death and risen again, thus experiencing “a new era beyond death.” Therefore, Acts 1:3 testifies that for 40 days after His resurrection, Jesus “spoke about the kingdom of God.” This reference to “the kingdom of God” is not merely an abstract eschatology or philosophy. It includes the practical direction on how the church should be established in power in the present reality and how it should move forward. One of its core directives is “You are to start in Jerusalem.”
Pastor David Jang states, “We can define the history of being restored in the very place where people have become the weakest and have fallen as ‘the actual reality of resurrection faith.’” This, he emphasizes, is the lesson from the Upper Room of Mark. When the disciples first gathered in that upper room, the atmosphere must have been very subdued. Immediately following the crucifixion, Jesus’ body was laid in a tomb, and the religious leaders were eager to wipe out every trace of His followers. Thus, that upper room may have functioned as a “temporary safe house for prayer.” But Jesus said, “Do not stop there; wait— not in the sense of standing still, but remain until you receive the Holy Spirit.” The transformation of the Upper Room, from a “helpless hideout” into the “origin of power,” is explained by the coming of the Holy Spirit.
Once the Holy Spirit descended (Acts 2), they were no longer a group of frightened disciples hiding away. The same upper room that had been a place of fear became the very site where the certainty of the resurrection and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descended, and the disciples left that room to boldly preach the gospel in the streets of Jerusalem. According to Pastor David Jang, “If the resurrection remains only a doctrine, it holds no real meaning. But when resurrection faith becomes the power that overturns people’s actual lives, we finally witness a change in which even within the walls of Jerusalem, people overcome fear and act.”
Such “faith in action” appears throughout the Book of Acts. Beginning in Jerusalem, the gospel spreads to Samaria, throughout all Judea, and on to the ends of the earth. The first clear instance of faith translated into action is seen in Acts 2, the event of Pentecost. Those who had been huddled in an inner room went out into the streets to proclaim the gospel, resulting in the dramatic scene of several thousand people repenting and being baptized in a single day. The spark of this movement was the Upper Room of Mark.
This upper room has also been likened to the “womb” or “birthplace” of the church. The reason is that a new era began, much like the birth of new life, made possible by the conviction of the risen Jesus and the descent of the Holy Spirit—effectively “conceiving” a brand-new community within that space. When Jesus was still physically with them, the disciples were in a phase of learning (being discipled) by following Him. But after Jesus’ ascension and the descent of the Holy Spirit, the disciples became “pillars of the church community,” taking on the active role of expanding the gospel. The Upper Room was at the heart of that pivotal transition, powered by resurrection faith.
Recalling Peter’s restoration in John 21 helps us understand how the disciples encountered the resurrected Jesus, rediscovered their calling, and then returned to Jerusalem in obedience. After Peter denied the Lord three times, Jesus asked him three times, “Do you love Me?” and upon Peter’s affirmation of love, the Lord reconciled Peter to himself, allowing him to be “reborn” as the “rock” (Peter). Pastor David Jang says of this scene, “The church does not run on particular programs or organizational capabilities; rather, its fundamental driving force is ‘love for the Lord.’ That love originates from the Lord’s resurrection, and it solidifies only when we believe in our hearts and confess with our mouths the grace He showed by embracing us.”
The Upper Room of Mark was a collective place of such “confession,” “repentance,” and “faith.” Disciples who had once denied Him and scattered came back together into one community, able to muster up courage beyond despair—all because of the Lord’s resurrection and the promise of the Holy Spirit. Pastor David Jang reiterates, “When the events described in Matthew 26 and onward (the passion of Jesus), John 21 (the disciples returning to Galilee), and Acts 1 (the return to Jerusalem) are woven together, resurrection faith gives a truly practical message to the church today.”
In this way, the Upper Room of Mark ultimately became a place of transition “from fear to boldness, from scattering to gathering, and from shame and denial to repentance and confession.” The contemporary church must meditate deeply on this point. If “the church, at some moment, only hides away in fear of societal criticism or persecution,” then we need again the flame of the Holy Spirit that descended on the Upper Room of Mark. This is also the modern application of resurrection faith. Holding on to the fact that the resurrected Jesus has destroyed death and is still “building the church” as though He is with us, supporting His church to boldly proclaim the gospel in the midst of the world, we can continue with joy “from Jerusalem to the ends of the earth.”
From this overall context, Pastor David Jang stresses, “We must not view the Upper Room of Mark simply as a historical location; rather, each local church today must recover its own ‘upper room.’” That place could be “the space where we long for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and pray,” or “the place where we hold onto and confess resurrection faith together.” Gathering in the upper room to pray is not about hiding from the world; it is about “receiving power there in order to go forth into the world,” which is the essential point. As Jesus told His disciples, “In a few days you will be baptized with the Holy Spirit” (Acts 1:5). Since that promise was fulfilled “in the upper room,” the early church never disappeared but instead spread throughout the whole world.
2. The Selection of Matthias: The Church’s Recovery to Fill Judas’ Empty Place
In the latter part of Acts 1, the disciples face the event of appointing someone new to the position of the twelfth apostle. Between Easter and Pentecost, one of the major issues was “what to do about the betrayal by Judas Iscariot—one of the Twelve originally called by Jesus—and the aftermath.” Judas had handed Jesus over for thirty silver coins and afterward hanged himself. Furthermore, Scripture (Acts 1:18) records that he bought a field with the reward for his wickedness, fell there, and his body burst open, causing him to become a symbol of the “tragedy of blood money.”
Pastor David Jang describes Judas’ tragedy as “the very person in the closest position committed the greatest crime.” Judas held the money bag among the disciple community, effectively managing their finances and serving in an important capacity. Likewise, in the church today, positions involving finances and service should be filled by those with abundant grace, but these roles can also become an easy avenue for Satan’s temptations and tests. Because money is needed to run a community, it can lead to worldly profit or stir up personal ambition. Hence, the Bible repeatedly warns the church that “the love of money is a root of all kinds of evil” (1 Timothy 6:10), and records that the early church “shared all their possessions and gave to each as they had need” (Acts 2:45, 4:34), clarifying its focus on not falling into corruption through entanglement with material wealth.
Yet Judas, tempted by material greed and political calculations, became a tool of Satan, ultimately betraying Jesus. Although he regretted his action shortly after the betrayal, it did not lead to genuine repentance. Instead, he ended his life in extreme despair, leaving the church with the painful wound of “losing one of the disciples.” The Twelve symbolized the twelve tribes of Israel—an essential spiritual foundation—and were like the “doors” of the new covenant community that the Lord Himself had established. With one of these “doors” fallen, it became critical to rebuild this entrance.
Hence, Acts 1 shows us the meeting during which they filled that vacancy. The early church sought someone to take the apostolic position, and the candidate chosen was Matthias. Observing this process provides a window into how the church deals with crises. In Acts 1:21–22, Peter proposes, “We must choose one of those who have been with us the whole time… one of these must become a witness with us of His resurrection—someone who was with us, beginning from John’s baptism to the time Jesus was taken up from us.” As a result, two individuals were put forward, and the early church cast lots, eventually selecting Matthias.
Pastor David Jang highlights several notable points here. First, the early church placed “being a witness of the resurrection” as the top requirement. The church exists to testify to the risen Lord, so the core mission of an apostle was likewise to proclaim the resurrection. Matthias and the other candidate were people who had witnessed Jesus’ entire public ministry—His suffering, death, and resurrection—right alongside the other apostles. Second, the combination of communal consensus, prayer, and finally casting lots is striking. It shows “the importance of everyone’s input and the community’s agreement, with the final decision placed in God’s sovereign hands.” This indicates that the church does not choose its leaders through mere human calculation or political compromise. Third, although Scripture does not record in detail what special works Matthias performed afterward, through this appointment the complete group of twelve apostles was restored, and they were ready to receive the Holy Spirit at Pentecost.
Why was this selection process so important? Because the church’s very first task before the Spirit’s coming was “to restore the apostolic team.” Without healing the vacuum and the hurt caused by Judas’ betrayal, the church could not have become perfectly united. The wound of “one of our own betrayed the Lord” likely lingered in people’s hearts, so rebuilding their trust in each other was urgent. Additionally, the disciples who had scattered came back together in Jerusalem to pray, forming a united front committed to ensuring “such betrayal must never happen again.”
Pastor David Jang points out, “Judas’ betrayal shows symbolically how a leader’s betrayal can devastate a community.” That is why the early church did not simply forget or cover up Judas’ story; rather, at the very beginning of the church’s public existence, they dealt with it transparently. The blood money was thrown into the temple treasury, and a “Field of Blood” was purchased (Matthew 27:5–8). This disgraceful history was not concealed; in fact, it was revealed publicly. Relying on prophecy (whether from Jeremiah or Psalms), they accepted that “this event was part of the fulfillment of prophecy,” and the whole community prayed in one accord before appointing a new member.
Thus, Matthias took over Judas’ apostolic seat. The church restored the framework of the Twelve, and within their fortified spiritual unity, they awaited the Pentecost outpouring of the Holy Spirit. When that Spirit descended, the apostles launched the gospel outward from Jerusalem into all Judea and Samaria and eventually the ends of the earth. Had the church ignored the internal strife and the wound inflicted by Judas’ betrayal and death, it could have disintegrated before it even began. Instead, the church exposed the wound, addressed it, and publicly proclaimed its path to restoration—this paved the way for the church to be reborn more maturely.
Another perspective is that Judas’ mistake and death instilled in the early church a sense that “no one can ever become complacent on this path.” Even someone who followed Jesus for three years, witnessed miracles and teachings, and was entrusted with the money bag could fall. Therefore, no one in the church is immune to the danger of temptation. Pastor David Jang warns regarding this point, “The same applies to modern church leadership. No matter how gifted someone appears, we must continually examine ourselves under the Word and the Holy Spirit, staying awake in prayer. Otherwise, Satan can seize on any weakness.” Indeed, church history has no shortage of betrayal and moral failures. Yet, each time, God raised new individuals (like Matthias) to fill the church’s vacant places and continue its story.
What, then, can today’s church learn specifically from Matthias’ selection? First, the church must fill pivotal leadership positions through communal agreement and prayer. It cannot choose leaders based on ability, fame, or political maneuvering, but must ask, “Do they fully embrace resurrection faith?” “Have they walked with the Lord?” “Have they witnessed the Lord’s suffering, death, and resurrection closely, and can they testify with their lives?” Such core faith confessions are far more important than worldly factors. Second, when the betrayal of a leader or a major hurt occurs in the church, we should not simply label it as an “individual tragedy” and hide it. Instead, the entire community should grieve and seek together—in prayer and Scripture—how to recover. After Judas fell, the early church did not spend time bitterly condemning him. They studied Jesus’ words and the relevant prophecies, using that understanding to move forward in a way aligned with them. Third, the entire recovery process ultimately focused on “the descent of the Holy Spirit.” Why did the church go to such lengths to address this incident prior to receiving the Holy Spirit? Because they needed to be in a state of readiness—free of unrighteousness and chaos—to receive the Spirit of Pentecost. Pastor David Jang emphasizes, “Before talking about the Spirit’s work, revival, or growth, the church must first earnestly confront and deal with internal sin and injustice. If its leaders have fallen, the church must not hide it but genuinely seek a path of healing.”
If we view Judas’ failure and Matthias’ appointment as “a single symbol,” it conveys that “no matter what great wound the church sustains, under God’s plan it will find a path to recovery.” Of course, Judas was not predestined to be lost from the start; he chose his path and ended in eternal tragedy. The church invites everyone to the path of repentance and redemption, but if individuals persistently refuse, tragedy inevitably follows. Instead of simply covering up such tragedies, the church must find momentum for repentance and renewal, forging a new path. In this process, “resurrection faith” emerges as the key driving force.
Resurrection faith is the belief in “God’s power to overcome death and restore life.” Judas was the one who brought about Jesus’ death, and he was consumed by guilt, but Jesus overcame death by rising again, revealing the path of life. The shock and fear the church felt from Judas’ betrayal were ultimately overcome by the hope found in Jesus’ resurrection. When Matthias filled the empty spot, the Twelve were reunited and ready to receive the Holy Spirit. Then, empowered by the Holy Spirit, they proclaimed the gospel boldly in Jerusalem. Reading Acts 1 through 4, we see Peter and John standing before the temple guards and religious authorities without fear, declaring, “Salvation is found in no one else” (Acts 4:12). This is the same Peter who once denied Jesus three times before the rooster crowed. Now he was transformed in the Upper Room of Mark, filled with the Holy Spirit, and representing the “complete apostolic circle” that included Matthias, boldly preaching the gospel. This underscores the powerful message that “Even the vacancy left by a collapsed leader was restored by God.”
Pastor David Jang states, “As the church lost Judas and gained Matthias, it was as if the ‘bloodied wound’ was healed, and likewise, modern churches must continually receive healing for old wounds and pains in order to be filled with new wine.” This lesson applies not just to the early church but also to the modern church, which still experiences conflicts, corruption, and betrayals of various kinds. Each time, we must ask how we will “raise up new Matthias-like leaders” to restore the community and be receptive to the work of the Holy Spirit.
The church is “the community that ushers in a new era through the Holy Spirit,” and at the same time, it grows by traversing numerous intersections of “betrayal and repentance, death and resurrection, discouragement and renewal.” Judas Iscariot hastened Jesus’ death; Matthias filled his vacant place and expanded the door of the gospel. Peter denied and fled, but Jesus sought him out in John 21, restored his love, and in Acts he emerged as the foremost preacher among the apostles. After reestablishing the apostolic leadership, the early church experienced the mighty descent of the Holy Spirit in the Upper Room of Mark. From the moment the Spirit came, they no longer hid. They went into the public square to preach the gospel, and soon all of Jerusalem was in an uproar.
Can the church today have the same experience? Pastor David Jang believes, “Certainly yes. However, the condition depends on whether the church truly believes in the actual power of resurrection faith today, resolves its internal issues (betrayal, corruption, mistrust) through repentance and prayer, and fully seeks the Spirit’s leading.” The Upper Room of Mark and Matthias’ selection are prime examples of how the church can tangibly experience the risen Lord’s power and overcome internal conflict and hurt, opening the way into a new era.
The core of Christian faith, epitomized by the resurrection, is the belief that “death, despair, and failure in this world are never the final word.” Even though the case of Judas seems utterly hopeless, the church carried on the long history of gospel proclamation through Matthias. Even if we, like Peter, sometimes deny the Lord and live in guilt, the story in John 21 shows that the Lord personally comes to us again to restore us. By that grace, we are drawn into the Upper Room of Mark, not to remain in a powerless state but to be clothed in the bold power of the Holy Spirit so that we can go out into the midst of the world.
Through such a journey, the early church concludes at the end of Acts 28 with the triumphant note that Paul “proclaimed the kingdom of God without hindrance,” implying that no one could stop the gospel. Paul preached from prison in Rome, and Peter, according to historical tradition, ended his life in martyrdom by crucifixion upside down. Even so, countless disciples rose to fill his place. Though the church has periodically been shaken and has faltered, it stands up anew in resurrection faith and the Spirit’s power. Even if one of the Twelve collapses, God can still restore apostolic ministry and carry it on to the ends of the earth.
Matthias’ selection embodies both “restoration” and “forward progress.” It w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church to overcome its internal wounds and, based on resurrection faith, reach for a greater vision. This lesson still resonates with us today, and church leaders facing various challenges in their ministry settings often ask, “How did the early church overcome such trials?” The answer invariably points to “a firm confession of resurrection faith, seeking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in prayer, and transparent communal procedures.”
Summarizing this, Pastor David Jang states, “Resurrection is power. When that power works within our hearts, it brings life to individuals and the church, building up the body of Christ. No matter how severe the betrayal, the church can find a way forward through recovery and new beginnings. Judas’ failure did not signal the end of church history, and neither will any major wound we face today extinguish the promise of God’s kingdom.”
This is the critical reason why “the Upper Room of Mark and the selection of Matthias” are connected. The Upper Room of Mark was the ignition point where the disciples, once hidden in fear, experienced the descent of the Holy Spirit and began to preach the gospel. The choice of Matthias was the scene in which the church became a “complete community” again after one apostle’s betrayal and death. Both narratives combine to show “how denial, betrayal, and fear within the church are transformed into restora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God’s power through the Lord’s resurrection and the Holy Spirit’s presence.” These stories encompass sorrow and remorse, yet they are filled with a greater measure of God’s grace. Consequently, the early church arose resolutely to spread the gospel beyond Jerusalem to the far reaches of the earth.
It is the same for today’s church. If any local congregation or community recovers its own “modern-day upper room,” becoming filled with resurrection faith, and if it transparently heals the wounds left behind by a “Judas” in their midst—much like they appointed Matthias—the church can expect a renewed work of the Holy Spirit. The Pentecost event was not a one-time historical occurrence confined to a specific place 2,000 years ago; it is God’s ongoing movement that every church in every era and location can experience.
This teaching aligns with Pastor David Jang’s long-standing emphasis on the “practical dimension of resurrection faith.” If Jesus’ resurrection is accepted only intellectually, it merely remains a doctrine. But the early church demonstrated how this resurrection served as the vital driving force in real life—showing that betrayal, suffering, death, and despair no longer hold the final say. Peter and the apostles boldly preaching in front of the very powers that had sought to kill them demonstrates just how concrete and explosive the power of the resurrection truly is.
Hence, to the question, “What is the church?” we might answer, “It is the community that began in the Upper Room of Mark in Jerusalem, overcame Judas Iscariot’s betrayal by appointing Matthias, received the Holy Spirit at Pentecost, and then spread to every corner of the globe.” This identity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history and geography and remains valid today. As long as the church keeps its resurrection faith, its doors never close. Even if internal ruptures occur, God raises up new individuals to restore that place and continues to pour out His Spirit. This continuity of the gospel—“from Jerusalem to Rome, and to all the earth”—is the inheritance of faith that today’s church must embrace.
Pastor David Jang’s concluding exhortation centers on this truth: “We must reclaim a present-day ‘upper room,’ and when betrayal or failure occur, we should not conceal them but rather seek genuine repentance and transparent resolution to seize the opportunity for a new beginning God offers. At the core of this stands ‘the Risen Lord,’ whose missionary mandate is carried out through the church.” When the church follows this path in obedience, the story of Acts does not end but continues to unfold.
예루살렘의 마가의 다락방은 기독교 교회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 공간이며, 동시에 오늘날 교회 공동체에 깊은 영적 통찰을 주는 장소로 잘 알려져 있다. 이 다락방은 사도행전 1장부터 2장으로 이어지는 매우 중요한 장면의 무대가 되는데, 바로 여기서 초대교회의 태동과 성령 강림 사건이 일어났다고 전해진다. 또한 그 시작점인 사도행전 1장은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지상 사역을 마무리하시는 시점, 즉 승천 직전 제자들에게 마지막 당부와 약속을 주신 사건이 기록된 장면이다. 그리고 이 다락방은 단지 물리적 공간의 개념을 넘어, ‘초대교회가 두려움 속에서도 예루살렘 한복판에 모여 역사적 변화를 일으킨 상징적 장소’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장재형 (장다윗)목사는 이 장면을 가리켜 “비록 제자들이 공포와 두려움에 떨고 있었지만,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후 약 40일 동안 그들을 직접 찾아오셔서 다시 세우시고, 믿음을 불어넣어 주신 뒤 예루살렘으로 모이게 하셨다”라고 설명한다. 제자들은 갈릴리까지 흩어졌다가,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나고서야 비로소 “부활신앙”으로 무장되어 예루살렘에 돌아올 수 있었다. 이는 신앙공동체 안에서 부활이 어떠한 힘을 발휘하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이며, 그 출발점에 마가의 다락방이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왜 굳이 예루살렘이어야 했을까? 예수님께서 잡히시고, 거기서 처형되셨던 도시가 예루살렘이다. 제자들에게는 몹시도 두렵고 참혹한 기억이 남은 곳이었을 것이다. 주님이 십자가에 달려 죽으신 후, 그분을 따르던 많은 이들이 뿔뿔이 흩어지고 말았다. 그러나 주님은 “예루살렘을 떠나지 말라. 아버지께서 약속하신 성령을 기다려라”(행1:4-5)는 말씀을 직접 주심으로써, 제자들이 오히려 가장 위험하고 두려운 지역에 다시 모이게 하셨다. 장재형 목사는 이를 “하나님의 역사는 늘 우리의 기대와 상식을 뛰어넘는다. 부활신앙이란, 가장 절망적인 곳에서 가장 소망을 전하는 힘을 발휘할 때 드러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부활신앙의 특징은, ‘죽음이 끝이 아니다’라는 확신에 있다. 제자들이 한때는 ‘주님이 처형당했고, 이제 우리도 붙잡혀 죽을 것’이라는 두려움 속에 주저앉았으나, 예수님께서 실제로 사망 권세를 깨뜨리고 다시 살아나신 모습을 보고 “죽음 그 너머의 새로운 시대”를 경험한 것이다. 그래서 사도행전 1장 3절에서는 예수님이 부활하신 후 40일 동안 “하나님 나라의 일을 말씀하셨다”고 증언한다. 여기서 “하나님 나라의 일”이란 단지 막연한 종말론이나 철학이 아니라, 지금 현실에서 교회가 어떤 능력으로 세워져야 하고, 어떻게 전진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 방향을 포함한다. 그 핵심 중 하나가 “너희는 예루살렘에서부터 출발하라”는 말씀이다.
장재형 목사는 “사람이 가장 약해지고 넘어졌던 곳에서 다시 회복하는 역사를 ‘부활신앙의 실제’라고 정의할 수 있다”고 말하며, 이것이야말로 예루살렘 마가의 다락방이 주는 교훈이라 강조한다. 처음에 제자들이 이 다락방에 모였을 때, 그 분위기는 지극히 숨죽인 상태였을 것이다. 십자가 사건 직후, 예수님의 시신이 무덤에 안치되었고, 지도층은 예수님의 잔당까지 모조리 소탕하려는 기세가 등등했다. 그렇기에 그 다락방은, ‘잠깐 모여서 기도하는 안전한 은신처’ 정도로 활용되었을 수 있다. 그러나 주님은 “그곳에서 멈추지 말고 기다리라. 멈추어 서 있으라는 의미가 아니라, 성령을 받을 때까지 머물라는 것”이었다. 마가의 다락방이 이처럼 ‘무력한 도피처’에서 ‘능력의 발원지’로 바뀌게 된 것은 바로 성령 강림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곧 성령이 임하심으로(행2장), 그들은 더 이상 두려움 속에 숨은 제자들이 아니었다. 공포의 공간이던 다락방이 부활의 확신과 성령의 능력이 임하는 현장이 되자, 제자들은 그곳을 떠나 예루살렘 거리로 나아가 담대히 복음을 전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해 장재형 목사는 “부활이 교리로만 남아 있다면 의미가 없지만, 부활신앙이 실제 삶을 뒤엎는 능력이 될 때, 사람들이 마침내 예루살렘성 안에서조차도 두려움을 뛰어넘어 행동하는 변화를 보게 된다”라고 역설한다.
이런 ‘행동하는 신앙’은 곧 사도행전 전반에 드러난다. 예루살렘에서 시작하여 사마리아와 온 유대, 그리고 땅끝에 이르는 역사적 복음 전파의 여정이 펼쳐지는 것이다. 신앙이 행동으로 이어진 가장 첫 번째 장면은 사도행전 2장 오순절 사건에서 드러나듯, 골방에 숨어 있던 이들이 거리로 나아가 복음을 선포하고, 하루에 수천 명이 회개하고 세례받는 장관이 펼쳐진 것이다. 그 발화점이 바로 마가의 다락방이었다.
한편, 이 다락방은 “교회의 모태” 또는 “교회의 자궁”으로 비유되기도 한다. 그 이유는 새 시대가 마치 새로운 생명이 태어나는 것처럼, 부활하신 예수님에 대한 확신과 성령 강림으로 인해 실제로 ‘새로운 공동체’가 그 안에서 잉태되었기 때문이다. 예수님이 아직 지상에 계실 때는, 제자들은 말씀을 배우며 동행하는 수학(修學) 단계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예수님이 승천하시고 성령이 임하신 이후, 제자들은 ‘교회 공동체의 기둥’으로서 스스로 복음을 확장해나가는 주체가 되었다. 다락방은 그 전환점의 심장부였고, 그 동력이 곧 부활신앙이었다.
요한복음 21장에서 베드로의 회복 장면을 떠올려보면, 제자들이 어떻게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났고, 또 어떻게 다시금 사명을 확인하며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순종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베드로가 주님을 세 번 부인한 이후, 주님께서 그에게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라고 세 번 묻고, 베드로가 그 사랑을 고백함으로써 비로소 무너진 자기 자신을 끌어안고 ‘반석’(베드로)으로 거듭 태어난다. 장재형 목사는 이 장면에 대해 “교회가 특정 프로그램이나 조직력으로 움직이지 않고, 결국 그 근본 동력은 ‘주님을 향한 사랑’에서 출발한다. 그 사랑은 곧 주님의 부활하심에서 기인하고, 우리를 품어주신 그 은혜를 마음으로 믿고 입으로 시인할 때에야 견고해지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마가의 다락방 역시 이와 같은 ‘고백’과 ‘회개’와 ‘믿음’의 집합체였다. 부인했던 제자들, 뿔뿔이 흩어졌던 제자들이 다시 돌아와 하나의 공동체가 되고, 절망을 넘어서는 용기를 내어 모일 수 있었던 것은 주님의 부활과 성령의 약속 때문이었다. “마태복음26장 이하에 기록된 예수님의 고난 현장과, 요한복음 21장 갈릴리로 돌아간 제자들의 모습, 그리고 사도행전 1장의 예루살렘으로의 귀환이 한 줄로 연결될 때, 비로소 부활신앙이 오늘날 교회에 실질적 메시지를 준다”고 장재형 목사는 거듭 강조한다.
이렇듯 예루살렘 마가의 다락방은 결과적으로 ‘두려움에서 대담함으로, 흩어짐에서 모임으로, 수치와 부인에서 회개와 고백으로’ 전환하는 현장이 되었다. 오늘날 교회가 이 점을 깊이 묵상할 필요가 있는데, “교회가 어느 시점부터 사회적 지탄이나 박해의 두려움 속에 숨어만 있는다면, 다시 마가의 다락방에 임한 성령의 불꽃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부활신앙의 현재적 적용이기도 하다. 죽음을 깨뜨리고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마치 여전히 우리와 함께하듯 교회를 세우시고, 그 교회가 세상 한복판에서 담대히 복음을 전하도록 지지해주신다는 사실을 붙들 때, 우리는 “예루살렘에서 시작하여 땅끝까지” 이르는 길을 기쁨으로 갈 수 있다.
이 모든 맥락에서 장재형 목사는 “마가의 다락방을 단지 역사적 장소로만 여기지 말고, 현재의 교회마다 자기만의 다락방을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것이 곧 ‘성령의 임재를 사모하고 기도하는 자리’일 수도 있고, ‘부활신앙을 함께 붙들고 고백하는 자리’일 수도 있다. 다락방에 모여 기도한다는 것은, 내부적으로 숨는 행위가 아니라 “거기서 능력을 받아 세상으로 나아가기 위한 최종 준비”라는 점이 핵심이다.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너희가 몇 날이 못되어 성령으로 세례를 받으리라”(행1:5)고 하셨듯, 그런 약속이 ‘다락방’에서 성취되었기에, 초대교회는 결코 사라지지 않고 전 세계로 뻗어나갔다.
2. 맛디아의 선택, 유다의 빈자리를 메우는 교회의 회복
사도행전 1장 후반부에서 제자들은 열두 번째 사도의 자리를 새롭게 채우는 사건을 맞이한다. 부활절을 지나 오순절로 향하는 그 사이, 가장 큰 이슈 중 하나가 “예수님이 열둘 중에 한 사람으로 부르셨던 가룟 유다의 배신과 그 후속 처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였다. 유다는 예수님을 은 삼십에 팔아넘긴 뒤, 스스로 목매어 죽었다. 그뿐 아니라, 그는 불의한 삯으로 밭을 산 뒤 거기서 몸이 떨어져 장기가 터져 죽었다는 기록(행1:18)으로 인해 “핏값의 비극”을 상징하는 인물이 되었다.
장재형 목사는 유다의 비극을 “가장 가까운 자리에 있던 사람이 오히려 가장 큰 범죄를 저지른 사건”이라고 표현한다. 유다는 제자 공동체 안에서 돈궤를 맡던 자였으니, 사실상 재정을 관리하고 봉사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교회도 마찬가지로, 재정을 맡고 봉사하는 자리가 때로는 은혜가 충만해야 할 중요한 자리가 되지만, 동시에 사탄의 유혹과 시험이 들어오기 쉬운 통로가 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공동체를 운영하기 위해 돈이 필요하고, 이 돈이 때로는 세속적인 이익이나 욕망을 건드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경은 교회가 “돈을 사랑함이 일만 악의 뿌리가 된다”(딤전6:10)고 거듭 경계하고, 초대교회가 “모든 재산을 서로 통용하며 각 사람의 필요를 따라 나눠주었다”(행2:45, 4:34)고 기록함으로써, 물질에 얽매여 부패하지 않도록 초점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유다는 물질적 욕심과 정치적 계산이라는 틈을 통해 사탄에 의해 쓰임받아, 결국 예수님을 팔아넘기는 배신자가 되었다. 그는 배신 직후 뒤늦은 후회를 했지만, 제대로 된 회개에 이르지 못하고 극단적 선택으로 생을 마감함으로써, ‘제자 중 하나를 잃었다’는 뼈아픈 상처를 교회에 남겼다. 열두 제자는 이스라엘 열두 지파를 상징하는 영적 기둥이었고, 주님이 친히 세우신“새로운 언약 공동체의 문”과 같았다. 그 한쪽 문이 무너졌으니, 이 문을 다시 세우는 작업이 시급했을 것이다.
이에 사도행전 1장에서는 그 공석을 채우기 위한 회의가 열린다. 여기서 초대교회는 새롭게 사도의 자리를 메울 인물을 뽑는데, 그것이 바로 맛디아다. 그 과정을 눈여겨보면, 교회의 위기 대처 방식이 어떠했는지 배울 수 있다. 사도행전 1장 21~22절에서 베드로는 이렇게 제안한다. “이 일, 곧 우리와 함께 다니면서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증인이 될 사람을 찾아야 한다. ‘요한의 세례’로부터 주님이 승천하시는 그 날까지 우리와 늘 함께하던 사람 중 하나를 세우자.” 그 결과, 두 사람이 후보에 올랐고, 초대교회는 그 자리에서 제비를 뽑아 맛디아를 선택했다.
장재형 목사는 여기서 주목할 몇 가지 포인트를 제시한다. 첫째, 초대교회가 “부활의 증인”을 최우선 자격 요건으로 삼았다는 점이다. 교회가 존재하는 목적은 부활하신 주님을 증거하기 위함이므로, 사도의 핵심 사명 역시 부활의 소식을 전하는 일이었다. 맛디아를 비롯해 후보가 되었던 사람들은 이미 예수님의 공생애와 고난, 죽음, 부활까지 전 과정을 옆에서 지켜본 사람들로, 사실상 열두 사도와 함께 늘 다니며 배웠던 이들이었다. 둘째, 선택 과정에서 보이는 공동체적 합의와 기도, 그리고 제비뽑기가 인상적이다. “모든 사람의 의견과 교회의 합의가 중요했고, 마지막 단계에서 하나님의 주권적 결정에 운명을 맡기는 방식”을 택했다. 이는 교회가 단지 인간적 계산이나 정치적 타협으로 리더를 뽑지 않음을 시사한다. 셋째, 이렇게 뽑힌 맛디아가 이후 교회에서 어떠한 능력을 나타냈는지에 대한 기록 자체는 성경에 길게 남아 있지 않지만, 이 사건을 계기로 열두 제자가 온전히 회복되어 다시 오순절 성령 강림을 맞이할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이 선택의 과정이 중요할까? 교회가 성령이 임하기 직전 가장 먼저 한 일이 바로 “지도자 팀(사도단)을 회복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유다가 만들어낸 공백과 배신으로 인한 상처를 치유하지 않고서는 교회가 온전히 하나가 되기 어려웠을 것이다. 사람의 마음 속에는 여전히 “우리 중 하나가 주님을 배반했다”는 배신감이 남아 있었고, 그 가운데 제자들은 서로를 향한 신뢰 회복이 시급했다. 또한 각자 흩어졌던 제자들이 다시 예루살렘에 모여 함께 기도하면서, “이제는 다시는 그런 배신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라는 단단한 결속을 다져야 했다.
장재형 목사는 “교회 안에 생겨난 상처, 지도자의 배신이란 것이 얼마나 공동체를 무너뜨릴 수 있는지, 유다의 사건이 상징적으로 보여준다”라고 지적한다. 그렇기에 초대교회는 가룟 유다의 사건을 단순히 잊어버리거나 덮어두지 않고, 아예 교회 첫 발을 내딛는 시점에 투명하게 정리하고 넘어갔다. 유다가 남긴 핏값의 돈은 성전에 던져졌고, 그것으로 ‘피밭’을 샀다는 사실(마27:5-8)이 공공연히 드러났다. 교회는 이 부끄러운 역사를 숨기지 않고, 되레 예언(예레미야나 시편)에 입각하여 “이 일이 예언이 성취되는 과정의 일부”라고까지 받아들이며, 공동체 전체가 한 목소리로 기도하고 새 인물을 임명했다.
그리하여 맛디아가 사도의 자리를 이어받게 되었다. 교회는 다시 열두 사도의 틀을 회복하고, 그 안에서 더욱 공고해진 영적 유대감 속에 오순절 성령 강림을 맞이했다. 그리고 그 성령의 힘을 입은 사도들은 예루살렘을 기점으로 온 유대와 사마리아를 넘어 땅끝까지 복음을 확장해 나가게 된다. 만일 유다의 배신과 죽음으로 인해 생긴 내분과 상처를 방치했다면, 교회가 출범하기 전부터 붕괴될 위험이 컸을 것이다. 하지만 반대로, 그 상처를 드러내어 해결하고, 회복의 과정을 공적으로 선포함으로써, 교회가 더욱 성숙한 모습으로 거듭날 수 있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유다의 실수와 죽음은, 초대교회에 ‘결코 그 누구도 이 길에서 방심해서는 안 된다’라는 경각심을 심어주었다고 볼 수 있다. 예수님을 직접 3년간 따라다니고, 기적과 말씀을 접하며, 심지어 돈궤를 맡겨질 정도로 신뢰받던 인물조차 무너질 수 있다는 사실은, 교회 구성원 누구든지 시험에 드는 위험이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 장재형 목사는 이 대목에 대해 “현대 교회 리더십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한 사람이 아무리 뛰어나 보여도, 끊임없이 말씀과 성령으로 자신을 살피고 깨어 기도해야 한다. 그리하지 않으면, 사단은 언제든지 우리를 미끼로 삼을 수 있다”라고 경고한다. 교회사는 배신과 타락의 역사가 결코 적지 않았다. 그러나 동시에, 그때마다 하나님께서는 새로운 인물(맛디아 같은)을 세워 교회의 빈 자리를 메우고, 역사를 이어 가셨음을 우리는 본다.
그렇다면 오늘날 교회가 맛디아의 선택 사건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점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첫째, 교회가 공동체적 합의와 기도 가운데 가장 중요한 지도자 자리를 채워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히 능력·명성·정치력을 보고 지도자를 세워서는 안 되며, “부활신앙을 확실히 붙들고 있는가?” “주님과 함께해 온 시간이 있는가?” “주님의 고난·죽음·부활을 옆에서 목격하고, 자기 삶으로 간증할 수 있는가?”라는 핵심 신앙 고백이 훨씬 중요하다. 둘째, 지도자의 배신 또는 교회 안의 큰 상처가 생길 때마다, 그것을 단지 ‘개인의 비극’으로 덮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 전체가 아파하며 “어떻게 회복할 것인가”를 기도와 말씀 속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유다가 무너진 뒤, 초대교회가 그를 강렬히 비난하는 데 시간을 보내지 않고, 주님의 말씀과 예언을 찾아 연구하며, 거기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길’을 열어간 자세는 배울 점이 많다. 셋째, 이 모든 회복 과정은 궁극적으로 ‘성령 강림’에 집중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교회가 왜 굳이 이 사건을 성령 임재 이전에 다뤘겠는가? 바로 오순절 성령을 받을 수 있는 온전한 상태로 자신들을 준비해야 했기 때문이다. 불의와 혼란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성령의 큰 역사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장재형 목사는 “교회가 성령의 역사, 부흥, 성장 등을 말하기 전에, 먼저 내부의 죄와 불의를 다루는 과정을 진지하게 거쳐야 하며, 지도자들의 무너짐이 있다면 그것을 은폐하지 말고 진정으로 치유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유다에게서 벗어나 맛디아를 세운 것이 “하나의 상징”이라면, 곧 ‘교회는 그 어떤 큰 상처를 당해도, 하나님의 계획 속에서 반드시 회복의 길을 찾는다’는 메시지를 준다. 물론, 유다는 원천적으로 ‘버려진 자’가 아니라, 스스로 길을 선택해 그 길로 나아갔다가 영원한 비극을 맞이한 것이다. 교회가 누구를 불문하고 회복과 구원의 길로 초청하지만, 개인이 끝까지 거부하면 비극은 일어난다. 교회는 그런 비극을 무조건 덮는 대신, 회개와 갱신의 동력을 찾아 새로운 길을 내야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부활신앙”이 핵심 저력으로 작용한다.
부활신앙은 “죽음을 끝장내고 다시 살리시는 하나님의 능력”을 믿는 것이다. 유다는 예수님을 죽게 만든 장본인이었고, 그 뒤에 찾아온 죄책감에 무너져 갔지만, 예수님은 부활하심으로 “생명의 길”을 열어놓으셨다. 가룟 유다의 배신이 교회에 남긴 충격과 공포는, 예수님의 부활로 인한 소망에 의해 극복될 수 있었다. 맛디아가 그 빈자리를 메꾸었을 때, 열두 제자는 다시 하나가 되어 성령을 기다렸고, 곧 교회에 불처럼 임한 성령으로 인해 예루살렘에 담대히 복음을 전파하기 시작했다. 사도행전 1장에서4장까지 읽어보면, 베드로와 요한이 성전 수비대를 비롯한 종교 권력 앞에서도 두려움을 느끼지 않고 “예수 이름 외에 구원 받을 다른 이름이 없다”(행4:12)고 선포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때의 베드로는 “닭 울기 전에 예수님을 세 번 부인하던 베드로”가 더 이상 아니다. 그는 마가의 다락방에서 회복된 자, 성령 받은 자, 그리고 맛디아와 함께한 “온전한 사도단”의 대표가 되어 버젓이 복음을 외친다. 여기에는 “무너져버린 지도자 한 사람의 자리마저도 하나님께서 회복시키셨다”는 강력한 메시지가 담겨 있다.
장재형 목사는 “유다를 잃고 맛디아를 얻은 교회가 ‘피투성이가 된 상처’를 치유받은 것처럼, 교회도 끊임없이 옛 상처와 고통을 치유받으며 새 술 부대를 채워야 한다”고 말한다. 초대교회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대 교회도 각종 분쟁·부패·배신 같은 사건을 겪을 때가 많으며, 그때마다 어떻게 ‘새로운 맛디아’를 세워서 공동체를 정돈하고 성령의 역사를 받을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회는 “성령을 통해 새로운 시대를 여는 공동체”이며, 동시에 “배신과 회개, 죽음과 부활, 좌절과 회복”이라는 수많은 교차점을 통과해가며 성장한다. 가룟 유다는 예수님의 죽음을 재촉했고, 맛디아는 그 빈자리를 메우며 복음의 문을 확장했다. 베드로는 부인하고 도망갔으나, 다시 예수님께서 찾아오셔서 요한복음 21장에서 그의 사랑을 회복시키셨고, 사도행전에서 가장 먼저 설교를 펼치는 지도자로 세우셨다. 이렇게 사도들의 재정비가 끝나고, 초대교회는 마가의 다락방이라는 공간에서 성령이 임하는 장관을 경험한다. 그 성령이 임한 순간부터 교회는 더 이상 숨어 있지 않고 거리로 나가 복음을 선포하기 시작했고, 이내 예루살렘이 발칵 뒤집혔다.
오늘날도 교회가 같은 경험을 할 수 있을까? 장재형 목사는 “당연히 가능하다. 다만, 그 조건은 오늘날 교회가 부활신앙의 실제적 파워를 믿고, 내부의 문제(배신·부패·불신)를 회개와 기도로 해결하며, 성령의 인도하심을 온전히 구하는 데 달렸다”고 주장한다. 마가의 다락방과 맛디아의 선택은, 교회가 어떻게 부활하신 주님의 능력을 실제 삶에서 체험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공동체 안의 갈등과 상처를 극복하여 새로운 시대로 나아가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부활신앙으로 대표되는 기독교의 핵심은 “이 땅의 죽음, 절망, 실패가 결코 마지막이 아니다”라는 믿음이다. 가룟 유다라는 절망적 사례가 있어도, 교회는 맛디아를 통해 복음 전파의 긴 역사를 이어 간다. 우리가 때로는 베드로처럼 주님을 부인하고 죄책감 속에 살지라도, 요한복음 21장처럼 주님이 친히 우리를 다시 찾아오시고 회복시킨다. 그 은혜가 우리를 예루살렘 마가의 다락방으로 이끌어, 무기력한 상태가 아니라 담대한 성령의 능력을 입어 세상 한복판으로 나가도록 만든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초대교회는 결국 사도행전 28장 마지막 절에서 “금하는 사람이 없었다”라는 당당한 선포로 마무리한다. 복음 전파를 막을 수 없었다는 뜻이다. 바울은 로마의 옥중에서도 복음을 전했고, 베드로는 역사의 기록에 따르면 거꾸로 십자가에 달리는 순교로 사명을 마무리했으나, 그의 뒤를 잇는 수많은 제자들이 또다시 교회의 빈 자리를 채워나갔다. 이처럼 교회는 주기적으로 흔들리고 넘어질지라도, 부활신앙과 성령의 능력 안에서 새롭게 일어선다. 열두 제자 중 한 사람이 무너져도, 하나님께서는 사도직을 회복하고, 땅끝까지 이어지게 하는 방법을 갖고 계신다.
맛디아의 선택은 바로 이 ‘회복’과 ‘전진’의 두 가지 정신을 모두 아우른다. 교회가 내부의 상처를 치유하고, 부활신앙에 기초하여 더 큰 비전을 향해 나아가는 출발점이 되는 것이다. 이 메시지는 오늘날도 여전히 유효하고, 교회 지도자들마다 사역 현장에서 다양한 갈등과 문제를 마주할 때마다, “초대교회는 어떻게 이 난관을 돌파했나?”를 돌아보면, 결국 그 답은“부활신앙의 견고한 고백과 성령의 임재를 기다리는 기도, 그리고 투명한 공동체적 절차”에 있음을 깨닫게 된다.
장재형 목사는 이를 정리하며 말한다. “부활은 능력이다. 그 능력은 우리 마음 안에 역사할 때, 사람을 살리고, 교회를 살리고, 그리스도의 몸을 세운다. 아무리 큰 배신자가 있어도, 그 배신을 넘어 교회는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는 회복과 새 출발의 길을 찾게 된다. 유다의 실패가 교회 역사의 종말을 뜻하지 않았듯이, 오늘날 우리가 맞닥뜨리는 어떠한 큰 상처도 하나님 나라의 약속을 소멸시키지 못한다.”
바로 이 지점이 “예루살렘 마가의 다락방과 맛디아의 선택”이 하나로 연결되는 결정적 이유다. 마가의 다락방은 숨죽이고 숨어 있던 제자들이 성령 강림을 경험한 뒤 세상으로 나가 복음을 선포하기 시작한 발화점이라면, 맛디아의 선택은 사도 중 한 사람의 배신과 죽음을 넘어서 교회가 다시 ‘온전한 공동체’로 거듭나는 장면이다. 두 이야기는 “교회 안의 배신·부인·두려움이, 주님의 부활과 성령의 임재로 말미암아 어떻게 회복과 능력의 역사로 바뀌는가”를 종합적으로 보여준다. 여기에는 슬픔과 회환이 섞여 있지만, 더욱 강력한 하나님의 은혜가 깃들어 있다. 그 결과, 초대교회는 예루살렘을 넘어 땅끝까지 복음을 전파하는 길로 분연히 일어설 수 있었다.
오늘날 교회도 마찬가지다. 어떤 지역 교회나 공동체가 마치 마가의 다락방처럼 ‘현대적 의미의 다락방’을 회복해 부활신앙으로 충만해진다면, 그리고 가룟 유다가 남기고 간 상처를 맛디아의 선출처럼 투명하고 말씀에 충실한 방식으로 치유한다면, 성령의 새 역사를 기대할 수 있다. 오순절 사건이 2000년 전 어느 한 장소에서만 일어난 ‘역사적 일회성’이 아니라, 모든 시대와 지역의 교회가 체험할 수 있는 하나님의 운동인 것이다.
이러한 가르침은 장재형 목사가 줄곧 강조해온 “부활신앙의 실천성”과 맞닿아 있다. 성경에서 예수님의 부활을 지적(知的)으로만 받아들이고 말면, 그것은 단순한 교리에 그친다. 그러나 초대교회는 이 부활을 실제 삶의 원동력으로 삼아, 배신이나 고난, 죽음이나 절망도 더 이상 끝이 아님을 시연해 보였다. 베드로와 사도들이 예루살렘 한복판에서 자신들을 죽이려 했던 세력들에게도 담대히 복음을 전하는 모습은, 부활이 얼마나 실재적이고 폭발적인 힘을 발휘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므로 “교회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예루살렘 마가의 다락방에서 시작되어, 가룟 유다의 배신을 맛디아의 선출로 회복하고, 성령 강림을 통해 전 세계로 나아간 공동체”라고 답할 수 있다. 그 정체성은 역사의 시공간을 넘어 오늘도 유효하며, 교회가 부활신앙을 지키는 이상 결코 문이 닫히지 않는다. 때로 교회 내부에 치명적인 균열이 일어나더라도, 하나님께서는 새로운 인물을 세워 그 자리를 회복시키시고, 또다시 성령을 부어주신다. 이것이 “예루살렘에서 시작하여 로마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전 세계에 이르기까지” 이어지는 복음의 연속성이자, 현대 교회가 이어받아야 할 믿음의 유산이다.
장재형 목사의 결론적인 권면도 여기에 맞닿는다. “우리는 현재적 다락방을 회복해야 하며, 배신과 실패가 일어날 때마다 그것을 덮는 대신 진실하게 회개하고 투명하게 해결함으로써, 하나님께서 주시는 새 출발의 기회를 붙잡아야 한다. 그 중심에는‘부활의 주님’이 계시고, 그분이 교회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선교적 사명이 놓여 있다.” 교회가 이 길에 순종할 때, 사도행전의 역사는 중단되지 않고 계속 펼쳐질 것이다.